헨젤과그랬대 [672473] · MS 2016 · 쪽지

2016-10-12 12:59:05
조회수 2,633

수능출제진은 "감"이라는걸 좋아할까

게시글 주소: https://cheetar.orbi.kr/0009334022

수학 '가'형에 대해 물어봅니다.


과연 수능 출제진이 '감'을 중요시하는지에 대해 의문이 들어서입니다.


2014수능

29번
'둘 다 지름이라고 한다음 한평면위에 있어야된다' 이 답이 될것 같다는 감


30번
"최고차항의 계수는 양수일것 같고 변곡접선이어야 맞지 않을까"라는 감

2015


29번 "구를 원처럼그리면 케이스는 2가지,그중 하나가 최대가 아닐까"라는감


2016


29번"한평면이어야 하지 않을까"라는 감


30번"이차곡선을 그리고 왠지 상수함수일거 같은데"라는감


이렇게 수능에서는 "감"이라고 표현해도 될지는 모르겠지만, 왠지 그럴거 같으면 맞는 문제들이 킬러로 나오고 있는데,
이 정도면 수능출제진은 학생들의 일반상식(감)을 따르려는 풀이를 좋아해도 된다고 할 수 있을까요?
그런데 올해 6,9평 30번은 매번 '감'을 이용해서 푼다기보다는 꾸역꾸역풀이라서 수능에서는 
'감'을 이용한 문제를 내지 않을까요??

여러분들 생각은 어떤가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17수능전과만점자 · 686317 · 16/10/12 13:01 · MS 2016

    저것들을 감이라 생각하시는 것 부터가 fail  한 평면에 있을때 최대 최소가 발생하는 것은 벡터를 돌려보다 보면 아는 것이고, 30번은 누가 어떻게 딱 보고 이차함수랑 상수함수일거같은데!! 이래요 ㅋㅋㅋ 미분계수가 일정하게 나올 수 밖에 없게끔 조건을 준건데.. 감이아니라 그냥 다 조건에 맞추어 풀어내는 과정입니다

  • 헨젤과그랬대 · 672473 · 16/10/12 13:07 · MS 2016

    근데 솔직히 작년 수능본 친구중에서 30번 맞힌애들한테 어떻게 풀었냐 물어보면 '이차함수는 꾸역꾸역풀면 나오고 우리가 배운 함수가 뭐가 있겠냐 해봤자, 지수,로그,초월,다항,상수함수 정도가 다지! 그러면서 상수함수 개삘이라 풀었는데 모순이 안 나와서 그거 답 적었어"라고 80%가 그러더라구요. 수능을 치면 약간 이성적 뇌가 멈짓멈짓해서 그런지는 몰라도...

  • thdrhwk · 416249 · 16/10/12 13:31 · MS 2012

    흠... 전 수능장에서 14 29번 풀때 아무 생각없이 바로 저 문제에 있는 감 대로 했는데요...

  • 헨젤과그랬대 · 672473 · 16/10/12 13:32 · MS 2016

    저도여 솔직히 수능장가면보여야할것이 안보이면서 그걸 감으로 채우는 거 같아요

  • 17수능전과만점자 · 686317 · 16/10/12 17:47 · MS 2016

    감이 틀렸다는게아니라 다 풀이과정의 일분데 뒤에다 감만 붙여놓으신거같가서요. 물론 풀이과정이 짧으면 문제의 해법을 추론하는 시간이 줄죠 보인다면 좋은건데 어차피 수학을 잘 한다면 나중엔 다 보이게 될 방법들인데 마치 감을 이용한.. 감이 없으면 틀릴 것 처럼 말씀하셔서 적어본겁니다. 어떤 과목이던지 센스가 좋으면 매우 도움이 되는 것이니까요..

  • 이코치 · 443926 · 16/10/12 13:02 · MS 2017

    수능시험이 사설보다 더 재미있는 문제를 낸다는 느낌을 주는데 그게 바로 말씀하신 요소때문인거 같아요. 주관적인 생각이지만요^^

  • 헨젤과그랬대 · 672473 · 16/10/12 13:12 · MS 2016

    맞아요. 솔직히 사설을 잘 관찰해보면 풀이가 바로 정해지는데 수능은 약간 직관같은 무언가가 필요한것 같더라구요 그래서 뭔가 수능은 좀더 재미있지만, 수능장에서는 이런 걸 생각해낼수 있을까 라는 두려움도 주는 문제인것같더라구요

  • 사랑합니다이명학 · 670938 · 16/10/12 13:15 · MS 2016

    감이라고 생각하는것도 많은 문제를 풀어서 얻어낸 자기 실력이라고 생각해요 절때 운으로 얻어진게 아님

  • 헨젤과그랬대 · 672473 · 16/10/12 13:16 · MS 2016

    그건 진짜 공감합니다.
    많은 노력을 통해 체화된거겠죠

  • 달빛 · 604603 · 16/10/12 13:18 · MS 2015

    감으로 상수함수 했더라도 실력이죠 ㅋㅋ 실력이 없으면 감이고 뭐고 걍 틀림영

  • 헨젤과그랬대 · 672473 · 16/10/12 13:19 · MS 2016

    저도 처음에 일차함수나 상수함수일거 같아서 했는데 일차함수는 아니고 상수함수는 맞길래 풀었거든요 현장에서 루트안에 있는값은 0보다 크다 인것을 알고 푼사람이 많지는 않을듯애요

  • 한점부끄럼없이 · 450972 · 16/10/12 13:28 · MS 2013

    감보다는 추론이라고 하는게 낫지않나요? 귀납적 사고과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조건에 부합하는 식을
    찾아 답을 도출해내게끔 하는 거죠
    그게 출제방침이기도 하고

  • 헨젤과그랬대 · 672473 · 16/10/12 13:33 · MS 2016

    그러네요 추론이 더 나은 말 같네요

  • thdrhwk · 416249 · 16/10/12 13:32 · MS 2012

    수능은 직관 좋아하는거 같아요. 감이 틀린적인 한 번도 없음. 애초에 고등수학 말고 진짜 수학도 직관이 없으면 잘하기 힘듦.

  • 너와나만의시간 · 567553 · 16/10/12 13:32 · MS 2015

    그 감이 곧 수능이 평가하는 사고력ㅇㅇ

  • 이지훙 · 598902 · 16/10/12 14:26 · MS 2015

    한평면이라는건 자명한거아님?

  • To_mato · 433978 · 16/10/12 18:12 · MS 2012

    감은 괜찮은데 발상적 풀이는 ㄹㅇ 지양함
    필연적으로 풀리지만 중간중간에 지름길을 놓게는 허용해주는 느낌

  • 2시12분 · 633465 · 16/10/12 18:31 · MS 2015

    필연적인 우연임 저것도 많이 풀어본사람한테서나 보이는거

  • 헨젤과그랬대 · 672473 · 16/10/12 18:42 · MS 2016

    '필연적인 우연'이라는 말 굉장히 맘에 드네요
    전 어휘실력이 딸려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