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교 자퇴에 대해 고민하는 친구들에게
요즘은 방학이고 학기 중도 아니어서 잘 모르겠지만, 1년 동안 오르비를 가끔 보다보면 고등학생들이 자신의 학업 등 여러 사유로 인해 자퇴를 고민하는 글을 올리는 것을 종종 볼 수 있습니다.
공부가 싫어·원하는 것 해보려고… 학교 나왔지만
자퇴청소년 2명 중 1명 “학업중단 후회”… 여가부, 쉼터 등 315개 시설 4691명 실태조사
피해 PC방에서 지내는 날이 많았다. 그러다 아예 집을 나와 함께 어울리는 친구들과 찜질방을 전전하거나 돈이 모이면 모텔 방에서
지냈다.
그는 밖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많아지면서 돈벌이에 나서기도 했다. 식당에서 배달일을 했는데 혹한에 쉽지 않아 금세 관뒀다.
막상 학교를 떠나니 새로운 진로를 찾기가 어려웠다. 특히 주변의 차가운 시선에 몹시 괴로웠다. 우울해진 철수는 스마트폰과 온라인 게임에 몰두하는
날이 잦아졌다. 철수는 “학교를 그만둔 게 후회되는데 막상 학교로 돌아가려니 발이 떨어지지 않는다”고 답답함을 표출했다.
![](https://s3.orbi.kr/data/file/cheditor4/1601/kENXr19pv9KqjfCj9aVAA.jpg)
않는다. 이 가운데 조기유학 등 정당한 사유 없이 학교 밖을 떠돌고 있는 청소년이 현재까지 37만명 정도로 추산된다.
학교 밖
청소년 중 상당수는 가정 내 불화나 노동력 착취를 비롯해 강·절도, 폭력, 성매수 등의 범죄에 그대로 노출돼 있다. 학교 밖 청소년에 대한
경고등이 켜진 지 오래된 만큼 이들을 위한 대책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https://s3.orbi.kr/data/file/cheditor4/1601/JI4Q7RGL1uBd2N29NwCbF5YjD7n2.jpg)
청소년 실태조사’ 결과를 내놓았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초·중·고교에 다니다 학교를 그만둔 아이들의 절반(56.9%) 이상은 학업
중단을 후회하고 있었다. 특히 소년원이나 보호관찰소에 입소한 청소년의 경우 ‘후회한다’는 응답이 70.2%로 일반(47.6%)보다 더 높았다.
그 이유로는 다양한 경험 부재·졸업장을 받지 못해서(각 52.3%), 교복을 입지 못해서’(51.9%), 친구 사귈 기회감소(44.6%) 등의
순이었다.
![](https://s3.orbi.kr/data/file/cheditor4/1601/y4bGyVSaM1YdcnxiEhWVHtK6knZ.jpg)
배우려고(22.3%), 검정고시 준비(15.3%) 등이었다. 이는 학교에서 배울 수 없는 새로운 일을 찾으려고 한 것보다 학교를 다니기 어려운
개인적인 사정이 더 많았다는 의미다. 학교를 그만둔 시기는 고교 때가 가장 많았다. 특히 고1(32.6%) 때 집중됐다.
학교를
관두기 전 청소년 대부분 지각과 무단결석, 무단조퇴 등 학교 규정을 어기는 일이 많았다. 이 같은 징후를 보이는 청소년에게 가정과 학교 차원의
관심 및 선제적 조치가 필요하다는 얘기다. 학교를 그만둘 때 주요 상담자는 부모(67%)와 친구(44.7%)가 많았다.
하지만
소년원에 입소한 청소년의 26.4%는 혼자 판단해 학교를 그만뒀다고 응답했다.
최인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책임연구원은 “학교를
그만두는 순간 아이들의 정보가 연계되지 않아 행정기관이 도움을 주고 싶어도 어려운 경우가 많다”며 “이번 조사를 계기로 학교 밖 청소년에 대한
지원정보가 아이들에게 잘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사회적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강은희 여가부 장관은 “학교 밖 청소년이 보호의
사각지대에 놓이지 않도록 촘촘한 사회안전망을 만들어 가겠다”고 밝혔다.
조병욱 기자 brightw@segye.com (세계일보 기사)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예비 한명 빠짐 0
Tlqkf 우울한 아침이다…
-
핸드폰 수거 불필요하단 애들은 걍 ㅈ반고를 앙가봐서 그럼 9
양아치들 맨날 몰폰해서 쌤 화내고 분위기 ㅈ창나는거 개ㅈ같음 수업시간에는 걷게 해야함
-
[에듀플러스]시대인재, 기숙형 재종학원에 대치동 강사 대거 투입...기숙형 재종학원 시장판도 변화 4
시대인재가 내달 26일 개강하는 경기도 용인의 약 1억5000만평 규모의 재수종합...
-
2차 추합때 붙는다고 봐도 되나요? 기숙사신청이 2차추합까지라..ㅠ
-
남녀분반이였는데 나는 내 친구가 나만 바라봐주길 기대하고 걔만 바라보다가 인간관계...
-
대전한 1차 0
몇명 빠졌는지 아시는분???? 부탁드립니다.
-
오르비는 너무 훅훅가버려서 친해지기 어려워요
-
교내 휴대전화 제한?…교사 75% "필요" vs 학생 53% "불필요" 8
울산교육청, 설문조사…학부모 70% "휴대전화 수거 필요" 교사·학부모,수업 방해...
-
아시는분 답변부탁드려요 궁금해서
-
얼버기 2
-
부산대 최영운 학생 ‘치과의사 필기시험’ 전국 수석 영예 3
[파이낸셜뉴스] 부산대학교가 지난달 시행된 치과의사 국가시험 필기시험에서 전국...
-
잇올 이투스 중에 고민입니다 오르비 보니 잇올이 좋다는 의견이 많던데 전에 다른...
-
뭐가 문제지? 아직 안 풀린 건가?
-
삼반수보다 힘들까요..
-
ㅈㄱㄴ
-
고대 추합 8
예비 6번이였는데 추합됐네여 다른분들도 꼭 원하시는곳 합격하세요
-
중대 솦 1차 추합 후 예비번호가 83이 됬는데 이거 될수 있을까요..? 1
총 인원 85명 중 1차때 55명밖에 안빠져서요..
-
확통입니다 아마 확통이 엄청 쉬움에도 불구하고 4점은 다 틀리고 3점에서도 3개나...
-
1주차2주차 이렇게있는데 주차별로 풀어야할ㅋ가요? 아님 시기를 좀 앞당기는게 좋을까요?
-
충북수1차 2
몇명 빠졌는지 아시는분 계실까용
-
개인적인 사정 때문에 여섯달동안 집 밖으로 못 나왔음
-
동대 합격 30
-
풀커리를 타면 오히려 공부가 안됐음 한강의듣는데 웬만하면 한달아니면 그이상인데...
-
추합 2
세종대 공과계열 208명 모집하고 예비141등에서 1차추합 예비89번인데 요건...
-
세종대 61명 뽑는 과에서 1차 12명 빠져서…
-
세종대 추합 0
200명 뽑는데 52명밖에 안빠짐 이거 맞냐?
-
가천의1차 0
가천대 의대 1차 몇명빠졌는지 아시는분 있으신가요?
-
모닝롤 2
망해버린인생
-
당연히 빠집니다 뱃지 +1
-
안녕하세요 :) 디올러 S (디올 Science, 디올 소통 계정) 입니다....
-
아니 ㅅㅂ 뭔데 2
자고 일어났는데 노트북 블랙스크린 뜸... 해결 안될거같은데 이거 파일만 못꺼내나...
-
아주대 추합함 6
아주대 미모공 빠집니다
-
ㅈ됐다 0
전전 4명밖에 안빠지는게 말이됌? ㅅㅂ
-
원래 들어가시던 정시모집 합격자 조회로 들어가시면 됩니다
-
약 10여년전쯤처럼 점공도 뭐도 없던 시대였다면 좀 감춰질 수도 있는데 지금은...
-
아니 이게 뭔 말도안되는
-
시대 단과나 강대 단과 다녀보신분들 질문 좀 받아주시면안될까요 0
강대 시대 재종 다니셨던분도 괜찮은데 아무래도 재종은 단과랑 느낌이다른것같아서요.....
-
마이고만 볼거같아요
-
하냥대 예비1 5
내일이면 합격이겠지....
-
수리논술 0
제가 수리논술이 처음인데 인강으로 시작해보려 합니다. 강윤구쌤이랑 대성 신재호...
-
메인글 관련 0
지역인재 약대 쓴 거 아니고요 고대 낮과 썼는데 폭나서 떨어짐. 국영수 333이...
-
주말에는 자신이 자습 신청해서 자율적으로 다니는건가요
-
백분위가 어케 되나용? 대략 98되나요?
-
64년생이심 ㄷㄷ 아직까지 강의하시는 게 대단
-
마지막에 3줄 요약 있어요!! 제 마블 최애 영화는 캡아 윈터솔져고, 그 다음으로...
-
성균관대 합격생을 위한 노크선배 꿀팁 [성대25][율전 학생들을 위한 1학년 교양과목 추천] 0
대학커뮤니티 노크에서 선발한 성균관대 선배가 오르비에 있는 예비 성균관대학생,...
-
[고2, 고3 내신 대비 자료 공유] 2026년 특강 국어 고3 문학 분석 기출 문제, 고2 문학 분석 기출 문제 자료 배포 0
안녕하세요 나무아카데미입니다. 2026년 특강 국어 고3 문학 분석 기출 문제와...
-
불인증된 3곳도 예상대로 불인증 유예네요 필수의료패키지(일명 필의패)도 결국엔 다...
-
.
-
실패
자퇴고민하는 글 올라왔을 때 저 기사를 봤으면 좋겠네요
님잔다메여?
아까잔댔죠ㅋㅋ 저 약속있어서 나가야함
이부분은..자신이 경험한것만 말해주기 때문에 참 어려운 부분인거 같아여 제 경험상 전 자퇴 안한걸 매우 후회하고 있져 자퇴를 고민하는 후배님들 꼭 다양한 사람의 생각과 경험을 듣되 선택은 남한테 휘둘리지 않고 본인이 하시길 바라요
위에서 썼다시피 제 개인적 견해에요
자퇴가 무조건 나쁘다는 게 아니라 그냥 이렇게 생각하는 사람이 있구나~ 하고 받아들이셨으면 좋겠슴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