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웃집 설냥이 · 1270533 · 02/08 12:27 · MS 2023

    제가 정법러였어서
    비교좀해보고싶네요

    사문 경제하신 분들도 부탁드림다

  • 심심한 · 1348506 · 02/08 12:31 · MS 2024

    아 사문vs경제요? 아님 어떻게용

  • 이웃집 설냥이 · 1270533 · 02/08 12:53 · MS 2023

    둘다영

  • 심심한 · 1348506 · 02/08 12:56 · MS 2024

    경제가 타임어택 젤 심해용

  • 심심한 · 1348506 · 02/08 12:56 · MS 2024

    난이도도 경제가...

  • 집가고싶은학생 · 1206960 · 02/08 13:20 · MS 2023

    뭐랄까 정법은 풀땐 음 그런가 싶은데 채점할때 많이 틀려서 당황스러운 과목이라면 경제는 풀땐 계산이나 케이스 고려시키면서 힘들게 만들지만 채점할땐 그래도 나쁘지 않은 과목?
    시간 자체는 경제가 더 빡빡할수뱎에 없죠

  • 이웃집 설냥이 · 1270533 · 02/08 13:21 · MS 2023

    고마어용

  • 설경제호소인 · 1249013 · 02/09 23:52 · MS 2023 (수정됨)

    경제정법러입니당
    개념난이도는 정법>>경제인데 어차피 사탐이라 둘다 할만하구요
    시험은 둘 다 다른 방식으로 어려운데 요즘 기조의 경제는 준킬러의 향연인지라 타임어택이 ㅈ된다는 게 어려움의 주된 이유일 것 같구요 정법에서도 변별용 문제는 개념을 깊게 이해하고 있어야 풀 수 있는 게 종종 나와요
    정보처리능력이 빠르다면 경제가,개념을 심도있게 이해할 수 있다면 정법이 더 쉬울 것 같네요

  • SPNS TV · 1375924 · 02/11 00:57 · MS 2025

    타임어택을 개념은 어느정도 준비되었지만 자료해석과 계산때문에 걸리는 시간압박의 정도라고 정의한다면
    경제는 간단한 숫자 대입, 직선 그래프 평행이동, 수 추론 등 때문에 사탐 중엔 제일 빡빡해요 5분 이상 안남았어요 전(좀 꼼꼼하고 우직하게 풀어서 그렇긴해요, 스킬 체화 잘된 분들은 더 빨리하시더라고요)

    정법은 타임어택의 대명사가 선거였지만, 24학년도부터 계산이 줄어서 길어도 4분 내에 다 풀 수 있어요
    이젠 다른 문제에서 시간이 많이 걸릴 순 있는데 아마, 헌법재판소 문제, 정부유형 문제 25수능 보시면 꽤 장황한 자료긴 해요..
    그래도 기본 개념이 탄탄하면 자료가 길던 어떻든 다 풀어낼 수 있어서 저도 정법은 모르는 문제 한 문제 빼고 6~7분 남았던것같아요

    즉, 윗분이 써주신것처럼 정법은 개념을 단단히 해두면 누군가에겐 타임어택이 될 자료를 타임어택이 아니게 할 수 있고
    경제는 분명 타임어택형 자료가 존재하지만, 유형화된 풀이를 잘 익혀두시면 타임어택의 강도를 줄일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