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영어가 뭔지부터 알고 들어가봅시다. (수능 영어란?)
기본적으로 수능 영어는 45문제로, 듣기 17 문항 (평균 배점 37점~39점) 독해 28 문항 (평균 배점 61점~63점) 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듣기 문항은 상대적으로 난이도가 쉬운 편이며,
독해 문항의 특정 유형이 난이도가 높기로 유명합니다.
지금부터 유형을 정리해드리겠습니다. (2025학년도 수능 기준)
1. 말의 목적
2. 말의 목적
3. 말의 목적
4. 대화 VS 그림
5. 대화 이후 할 일
6. 금액 계산
7. ~에 갈 수 없는 이유
8. 언급되지 않은 것
9. 일치하지 않는 것
10. 대화 VS 표
11. 짧은 대화 이후 예상 응답 (1)
12. 짧은 대화 이후 예상 응답 (2)
13. 긴 대화 이후 예상 응답 (1)
14. 긴 대화 이후 예상 응답 (2)
15. 상황 제시문 대응안
16. (두 번 재생) 주제
17. (두 번 재생) 언급되지 않은 것 (듣기 영역 마지막 문항)
18. 편지글
19. 심경 변화
20. 주장하는 바
21. 함축 의미 추론
22. 글의 요지
23. 글의 주제
24. 글의 제목
25. 도표
26. 인물 제시문 중 일치 X
27. 포스터 1 (일치 X)
28. 포스터 2 (일치 O)
29. 어법
30. 문맥상 낱말
31. 빈칸 추론 (1)
32. 빈칸 추론 (2)
33. 빈칸 추론 (3)
34. 빈칸 추론 (4)
35. 흐름상 어색한 문장
36. 순서 추론 (1)
37. 순서 추론 (2)
38. 문장 삽입 (1)
39. 문장 삽입 (2)
40. 박스 요약
41. 장문 독해 (1) : 제목
42. 장문 독해 (1) : 문맥상 낱말
43. 장문 독해 (2) : 순서
44. 장문 독해 (2) : 다른 대상 찾기
45. 장문 독해 (3) : 적절하지 않은 내용 (독해 영역 마지막 문항)
각 유형이나 순서와 배치는 바뀌지 않는다고 보셔도 무방합니다. (28 수능 개편 이후는 모르겠지만)
앞서 말씀 드린 문항들 중 학생들이 생각보다 실수를 자주하고 난이도가 조금이라도 있는 유형들을 최대한 많이 알려드리겠습니다.
짧은 대화 이후 예상 응답 (1), (2)
함축 의미 추론
문맥상 낱말
빈칸 추론
순서 추론
문장 삽입
장문 독해 (1) : 문맥상 낱말
해당 문항들의 배점 합은 2025학년도 수능 기준으로 34점입니다. (매년 배점이 문항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기 때문에 2025 기준으로 보시겠습니다.)
해당 유형들에서 고득점을 위해서라면 한 두 문제 정도면 몰라도 세 문제 이상 틀리면 안됩니다.
해당 유형들의 특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짧은 대화 이후 예상 응답 (1), (2)
이 유형에서 듣기 제시문은 두 문장이 나오고 끝납니다. (보통: 남자 한 마디 -> 여자 한 마디 -> 끝)
고로 잘 집중하고 있지 않거나 방심한 학생들은 듣지도 못했는데 듣기 제시문이 끝나버리는 상황을 마주하기도 합니다.
듣기 유형에서 유일하게 뒤의 독해 문제 풀지 말고 가만히 집중해서 보고 있기를 추천하는 유형이기도 합니다.
함축 의미 추론
해당 유형에서는 완전한 지문이 나오고, 지문의 특정 비유적 표현에 밑줄을 그어둡니다.
그냥 보고서는 그 비유적 표현이 내포하고 있는 의미를 알 수 없기에, 지문의 주제와 그것을 지탱하는 부수적인 아이디어들을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밑줄 표현이 있는 부분의 맥락과 그 주제를 잘 연결시켜 선택지 중 정답을 고르는 능력을 요구합니다.
요즘 기조를 보면 5개의 선지 중 하나를 고르는 것의 난이도가 확연히 올라갔습니다.
각 선지가 무엇을 의미하고 그 차이가 무엇인지 ‘선지만 두고 보았을 때’ 분석하는 연습도 좋습니다.
문맥상 낱말
해당 유형에서는 완전한 지문이 나오고, 지문 속 다섯 가지의 단어가 선택지로 배치되어 있습니다.
지문의 핵심 아이디어를 이해하고, 다섯 단어가 각각 속해 있는 맥락에서는 어떤 표현이 와야 적절할지 판단하는 능력이 요구됩니다.
글을 많이 읽어보면 읽어볼수록 해당 유형에 대한 진입 장벽이 낮아집니다.
빈칸 추론
수능 영어에서 가장 유명한 유형으로, 가장 많은 학생들이 어려움을 겪는 유형입니다.
지문 속 한 부분이 빈칸으로 비워져 있는데,
이를 올바른 표현이나 맥락상 올바른 설명으로 채워야 합니다.
지문의 핵심 아이디어와 지탱하는 아이디어를 이해하는 데 많은 어려움을 겪습니다.
다른 유형 대비 빈칸 추론 유형에 힘을 주려는 평가원의 경향성이 있기에 그러합니다.
2점짜리 문항 둘, 3점짜리 문항 둘로 총 10점이 배정되어 있습니다.
순서 추론
문장 삽입과 함께 요즘 어려워진 유형 중 하나로, 주어진 보기 문장 이후 (A) / (B) / (C) 중
어떤 부분이 올지 추론하고 그에 맞춰 뒷부분을 완성시키는 것이 목표인 유형입니다.
2점짜리 문항 하나, 3점짜리 문항 하나로 총 5점이 배정되어 있습니다.
상대적으로 쉽게 나온다면 지시어나 접속사만으로 어렵지 않게 맥락을 구성할 수 있으나,
어렵게 나온다면 이를 알려주지 않은 채 오직 맥락만으로 이야기를 이어나가게 합니다.
평소에 학습할 때 보기 문장을 읽고 알 수 있는 정보들과 뒤에 올 가능성이 높은 이야기를 혼자 만들어내 보는 것도 좋습니다.
문장 삽입
순서 추론과 함께 요즘 어려워진 유형 중 하나로, 지문 속 비워져있는 다섯가지의 부분 중
보기 문장이 들어갈만한 곳을 찾는 것이 그 목표인 유형입니다.
2점짜리 문항 하나, 3점짜리 문항 하나로 순서 추론의 문항 총 배점과 같은 총 배점을 가집니다.
상대적으로 쉽게 나온다면 보기 문장 속의 지시어나 접속사를 특정 맥락과 어렵지 않게 연결지을 수 있으나,
어렵게 나온다면 오직 맥락만으로 작은 단서들을 찾아 채워넣을 것을 요구합니다.
평소에 학습할 때 보기 문장을 읽고 앞 뒤 이야기가 각각 어떠해야 할지 생각해보고 대조해보는 연습을 해보는 것도 좋습니다.
장문 독해 (1) : 문맥상 낱말
두 문단짜리 긴 지문 속에 있는 다섯가지의 선택지 단어들 중 맥락에 부합하지 않는 선택지를 찾는 것이 목표인 유형입니다.
평소에 시간 관리를 잘 해 어느 정도 다 풀고도 시간이 조금 남는 학생이라면 무리 없이 천천히 찾아낼 수 있겠지만,
해당 유형을 틀리는 대다수의 학생들은 시험 중 시간 관리를 잘 하지 못 하였기에 해당 문항을 풀어내는 데 어려움을 느끼기도 합니다.
시간 관리 능력과 맥락을 찾는 능력을 기를 것이 요구됩니다.
이렇게 기본적으로 특정 유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이번에는 조금 더 깊게 들어가,
독해 영역에 있는 문항 유형의 두 가지 카테고리에 대해서 말해보겠습니다.
첫 카테고리는 ‘지문이 완전한 유형’입니다.
지문이 완전한 유형 같은 경우에는 필자의 핵심 아이디어와 이를 뒷받침해주는 다른 정보들을 응집시켜
결국에 필자가 하고 싶어 하는 말을 찾아내는 것이 핵심입니다.
이를 통해 선지 중 매력적인 오답을 제거하고 ’가장 적절한‘ 선지를 가려내야 합니다.
두 번째 카테고리는 ’지문이 불완전한 유형‘입니다.
지문이 불완전한 유형 같은 경우에는 지문을 완전하게, 즉, 매끄럽게 만드는 것에 초점을 맞춥니다.
‘매끄럽게‘라는 말이 모호하게 와닿을 수도 있습니다.
특정 지시어나 접속사의 사용에 대한 이해와 맥락이 어떻게 이어지는가를 잘 이해하고 있는 사람이 되어야 합니다.
순서 추론이나 문장 삽입과 같은 유형이 가장 대표적인 예시입니다.
혼자서 연습할 때 꾸준히 ‘상상‘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 상상이 실제 정답과 대조했을 때 매치될 확률을 높이는 작업을 꾸준히 해주시면 좋습니다.
이런 연습은 상상을 정답으로 이끄는 데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아니라,
상상을 ’합리적인 추론’으로 이끌어내는 데에 초점을 맞춥니다.
합리적인 추론이란 주어진 근거를 기반으로 그 너머를 보는 것입니다.
그 너머가 과도한 상상에 머물지 않고 계속해서 발전시켜 진짜 그럴싸한 것으로 만들어내는 연습을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수능 영어 지문은 근본적으로 academic writings, 학술적인 글입니다.
학술적인 글은 main idea와 이를 지탱하는 supporting idea로 나뉘는데,
이것들을 캐치하는 것이 수능 영어 지문을 이해하는 것의 지름길이자 유일한 정답입니다.
저것들을 잡아내기 위해서는 맥락과 맥락의 흐름을 인지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는 단순 독자의 시점이 아닌 좀 더 멀리 떨어진 제3자의 입장에서 글을 보는 능력을 요구합니다.
최대한 객관적으로 주어진 정보만 보고 맥락에 대한 이해를 한 뒤 그것들을 이어붙여 하나의 유기체, 하나의 글을 이해하는 것이
지문이 완전한 유형을 푸는 것의 최종적인 목표입니다.
순수독해력이 가장 핵심이 되는 요즘 기조에서는 단순히 문제를 풀려고 글을 도구로 삼는 것이 아닌,
글을 읽고 잘 읽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선지를 가려내는, 이러한 습관이 능력을 가장 잘 길러주는 것 아닐까 싶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좋아요 1 답글 달기 신고
-
좋아요 0 답글 달기 신고
-
과외알바를 생각하시는 분들을 위한 매뉴얼&팁입니다. 미리 하나 장만해두세요~~...
-
독서 - 정석민 문학 - 강민철 언매 - 유대종 이렇게 들으려 하는데 문학 강민철쌤...
-
지금은 과목이 수1 수2 미적 이렇게 나눠져서 수업하는데 나중에 강k나 실모시즌쯤...
-
파입 포 쓰리 투 원 영쩜오 영쩜이오 영쩜일이오 제로!!
-
눈물난다 진짜루
-
모닝 틀딱 ㅇㅈ 20
23샤프는 어디갔는지 모르겠음
-
정시 원점수 컷 좀 대략 알려주세요
-
사탐 커리 질문 1
사문이랑 정법 듣는데 인강으로 개념강좌만 보고 마더텅으로 혼자 해도 괜찮나요
-
영어 공부를... 13
꼭 해야할까..? 연의만 포기하면 되는거 아닌가ㅋㅋ
-
올해 추합 0
올해 추합 어케 보시나요 많이 돌까요요요 아님 안 돌까요요
-
건뱃이 그냥 서성한 이하 뱃지중에 고트임
-
예비 받은 경우 4
추합 차수 돌때마다 내 앞에서 몇명 빠져나가는지 알 수 있나요? 추합 차수 늘어날...
-
왜 빨리한다하시고 밀려서… 스블 분량맘 겨울방학 때 알차게 공부해도 수학실력 많이 는다 생각하는디
-
주위에 남자만 있어 ㅅㅂ
-
itq시험 인터넷으로 보는 것 아닌가요?? 신청하는데 고사장을 선택 하라네요 ㅡㅡ
-
님드라 2
고삼이면 유튜브,넷플 이런 것들 끊어야 하는 게 맞지 ..? 난 적당히를 몰라서...
-
안녕하세요 '지구과학 최단기간 고정 1등급만들기' 저자 발로탱이입니다. 지난 1년간...
-
공개적으로 우크라이나 전쟁에 반대하고 푸틴을 조롱한 러시아 유명 가수가 경찰의...
-
일본 노래 부르지마요 12
저만 모르는 거 많이 부르지 마요
-
얼버기 7
-
아 어제 새벽 2
인증메타였어... 또 나만 못봤찌..
-
ㅇㅂㄱ 8
아침인증
-
수능3등급 재종학원 어디가 나을까요 시대인재 목동 vs 시대인재 대치 vs 대성...
-
얼버기 1
수특 문학사러 간 준비 ㄱㄱ혓
-
심찬우 문학 에필로그 사려고 하는데 에필로그 가격이35000 이던데 에필로그...
-
얼부기 3
졸ㄹ려..
-
저만 일반고나온것같음
-
얼버기 0
배고파
-
중요한 거 있었는데 인증안되서 못 찾아봄
-
뱃지가 생겼네요, 기분이 좋아요.
-
같은학교 같은과 지망 학교친구가 잇는데 우리둘다 학원안다니고 열품타 같이해서...
-
손창빈쌤 수업재밌다
-
결혼하고싶다ㅏ 0
다 필요없고 그냥 평범하게 남편한테 사랑받으며 지내고싶어 ㅜㅜ
-
대학 1
중대미커 홍대경영 세무사노리는데 닥전인가요?
-
예비 53이면 빠질 수 있을까요…?! 698.6이었나 그럽니다 발뻗잠해도 될까요ㅠㅠ
-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청해 도중에 시도 때도 없이 졸 듯...
-
얼버기 8
사실 잔 적 없음
-
티라노의 아종 저 공룡이 한반도에서 발견됬다는데 진짜인가? 0
운지사우르스(학명:yehaun/muhuynunijy)는 노라기후기 (1억 523년...
-
서연고 빵꾸 + 23수능이랑 점수분포 비슷하니 23수능급으로 많이돌것이다 vs...
-
마리카락 얼정도로 춥습니다
-
옹알옹알 우꺄아 5
뀨우
-
지금 삼반수 고민중인 사람인데 작년 평가원 수학 6모 1(88점), 9모...
-
오노추 2
녹황색사회 - Shout baby
-
ㅈㄱ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