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gent K [1333215] · MS 2024 (수정됨) · 쪽지

2025-02-03 14:20:22
조회수 1,974

[Agent K] 서울대 검정고시 대체서식 작성법

게시글 주소: https://cheetar.orbi.kr/00071753767

선 좋아요 후 감상 부탁드립니다.

선 좋아요 후 감상 부탁드립니다.

선 좋아요 후 감상 부탁드립니다.



피오르에서 활동하는 Agent K 컨설턴트입니다.


저는 검정고시 BB 표본을 갖고 있으며, 

오르비에서 '검.고는 무조건 CC'라는 통념을 뒤집은 사람입니다.


이 글은 "검정고시 학생" 또는 "고교 중퇴를 고려하는 학생"만 보시면 됩니다.


아니면 사실 서울대 검.고는 굳이 검정고시 학생이 아니더라도 


많은 관심을 끄는 사안이기에 읽어보셔도 좋구요.


조금 깁니다. 그냥 좋아요만 눌러주시면 검.고 학생들한테 큰 도움 될 것 같습니다.




아무래도 검정고시 학생들은 소위 '한줌단' 일 정도로 서울대 정시에서 소수입니다.


다만 그럼에도 이 글을 쓰는건, 


올해 컨설팅을 진행하며 검정고시 대체서식을 작성하지 않은 학생들이 


대개 '귀찮거나 나태해서' 라기보다는


'어떻게 하는지 몰라서' 의 정보 부족 이유가 더 크다고 느껴졌습니다.




그래서 검정고시 학생들도 서울대 진학에 불리함이 없도록 

저희 팀이 갖는 Insight를 나누어 드리려 합니다.


제발 검.고 학생분들 내년에는 서류 제대로 준비해서 컨설팅 와주세요




같이 보시죠.





1. 대체서식, 넌 뭐니?



출처 ) 2025학년도 서울대 정시모집요강 (admission.snu.ac.kr)


서울대가 2023학년도부터 내신 보는 것은 아시죠?


서울대 내신반영의 정확한 명칭은 교과평가입니다.


여기서 '평가자료' 는 학교생활기록부와, 교육과정 편성표입니다.


그런데 아시다시피 검정고시 학생들은 학교생활기록부가 완성되어 있지 않겠죠?


그렇기에 서울대는 다음과 같은 조처를 취했습니다.




"아, 너 생활기록부 없어? 

그러면 니가 생활기록부 비스무리한 것 써와.

아니, 남들은 다 고교생활 했는데 너한테만 비교내신 주는게 불합리한거잖아.

그러니까 너가 생활기록부를 만들어와. 

그럼 평가해줄게."




중요한 점은 평가내용입니다.


평가 내용은 대체서식을 뭘로 작성해야 하는지와 직결됩니다.


가끔 검정고시 학생들이 


외부 봉사 활동 / 스스로 한 진로활동(어느 대기업에 체험 다녀왔다나 뭐라나..) / 

고교 시절 비교과 활동 /

 

심지어는 쿠팡에서 알바 뛴 급여명세서 (호림원 이병님... 잘 계신가요..)


이런 것들을 제출하는데요..


서울대 교과평가의 평가 내용은 학교 생활 기록부 중,

 

교과 학습 발달 사항의 내용에 한정됩니다.


즉, 내신과 세특에 준하는 것만 본다는거에요.


그러니까 봉사활동 증명서 이런거 내봐야 바로 입학처 파쇄기로 들어갈 수밖에 없는거에요.


보다 구체적으로,



(1) 과목 이수내용


- 너 무슨과목 이수했니? 를 평가합니다.


의대를 쓰는데 생명과학 이수 내용을 대체서식에서 증빙하지 않거나,


전기정보를 쓰는데 물리 내용이 대체서식에 한 줄도 없다면 과목 이수내용에서 감점을 받겠죠.



(2) 교과 성취도


- 이건 학생부 상에서는 1~9등급 지표로 표시가 되지만,

 

검정고시 학생들이 학교 외부에서 공적인 고등학교 교과에 대한 성취도 평가를 받아오기는 어렵죠.


서울대도 이 점은 알고 있으며, 그냥 외부에서 고등학교 교과 내용에 대해 성실히 이수해오면


특별히 문제될 건 없는 것 같습니다.



(3) 교과 학업 수행 내용


- 학생부에는 세특으로 평가합니다. 그러나 이 부분을 검정고시 학생들은


대체서식에 100자 내외로 활동을 설명하는 란이 주어집니다.


이 100자에 어떻게든 학업 의지를 우겨 넣어야 해요.


그럼 구체적인 학생부 대체서식 양식을 보시죠.





2) 학생부 대체서식 작성법


학교생활기록부 대체서식은 이렇게 생겼습니다.


서류의 밑 1번부터 서울대의 의중을 하나씩 뜯어드릴게요. 




1. 발급한 서류명 또는 교과명 기재



서울대 : 너 뭐 외부활동? 관심 없어. 고등학교 교과목 공부한거 적어. 그리고 그건 '서류'로 증빙돼야해.


제가 본 어떤 분은 뭐 수특 자기가 푼거 사진 찍어 올리겠다는 분도 계셨는데..


되겠냐고요... 

 


서울대 : 검정고시 성적표 내. 


해설 : 검.고 성적표 내라는건 당연히 좋은 성적을 받아오라는 거겠죠?




서울대 : 서류는 어디서 떼오냐고? 청소년생활기록부를 내거나, 국가평생교육진흥원에서 발급하는 


생학습이력증명서 '등' 국가 공인기관의 학업 관련 이력을 제출해.


해설 : 1) 청소년생활기록부를 준비하거나 2) 국가평생교육진흥원에서 발급하는 평생학습이력증명서

를 떼다 내세요. 그러나, 3) 위 2개에 한정되지는 않습니다. 국가 공인 기관이 발급한 학업관련 이력이라면 제출하시면 됩니다.


즉 뭔말이냐면 그냥 간단하게 믿을만한 출처인지 모르는 이상한 기관에서 서류 떼오지말고 신뢰할 

수 있는 국가 공인 기관에서 공부한 것 떼오라는 말이에요. 




서울대 : 국내 고교 재학 사실이 있으면 학교생활기록부 내.


해설 : 서울대는 당신이 어떤 사람이었는지 궁금하겠죠? 


서울대는 내신 말아먹고 자퇴 후 정시 파는 애들을 


정말정말정말정말정말정말정말정말정말 싫어합니다.


그래서 당신이 고등학교 때 어떤 사람이었는지 확인하려는 거에요.


학생부 제출은 권장사항입니다. 제 추천은 이렇습니다.


평반고 4.0등급 / 갓반고 and 광역자사고 4.5등급 / 외고 전국자사고 5.0등급 이상은 제출한다.


아니라면 숨긴다.


학교생활기록부를 제출하지 않고 합격한 케이스는 근데 없습니다.


못할 거라는게 아니라 미지의 세계라는거에요.





2. 기간




서울대 : 고등학교 재학에 준하는 시기의 활동을 작성해.


해설 : 여기서 고등학교 재학에 준하는 시기는 서울대 입학처에 확인 받은 바,


정시 지원 시점으로부터 3년 이내 입니다.


즉 검정고시 합격 이후 활동들도 제출 가능합니다.




3. 학습 내용


서울대 : 이상한거 쓰지말고 고등학교 교과목에 관련하여 학습한 내용을 제출해.


아래 명단 보고 찾아서 공부하면 된단다.


해설 : 그렇다네요. 


학생부에 기재 못하는건 쓰면 0점처리 될 수 있습니다. (토익, 토플 등 공인어학성적 등)




4. 증빙자료


서울대 : 20페이지까지 가능하단다.


해설은 없습니다.




5. 발행기관


기재하되 평가시 블라인드 된다는 내용입니다.



3) 그럼 그 서류는 어디서 떼오죠?


전술했듯 서울대는 


1) 청소년생활기록부


2) 평생학습이력증명서


3) 기타 국가공인기관의 학업관련이력


3개를 예시하고 있습니다.





1) 청소년 생활 기록부



1번은 수능 공부하면서 병행하기 어려워요. 


꿈드림센터라는 자퇴생 돌봄센터(?) 같은 것이 있는데, 


거기서 꾸준히 출석하고 활동하면


청소년 생활기록부라는 서류를 떼줍니다.


근데 일단 거기서 일하는 분들이 청소년생활기록부를 거의 모를 뿐더러 

(생각해보세요 그런 센터에 서울대 갈 애가 몇명이나 있겠어요


꿈드림 센터에서 하는 활동들이 대개 고등학교 교과와는 큰 연관이 없습니다.


따라서 서류는 2번과 3번으로 채워야 해요.



2,3) 평생학습이력증명서 / 국가공인기관에서의 학습 


이건 뭐냐면, 


이런식으로 여러 국가 공인 기관에서 공부한 내용을 하나로 합쳐서 증명서를 떼주는 서비스에요.


www.all.go.kr 에서 가입할 수 있습니다.


중요한건 이 사이트는 여러 국가기관과 자동으로 데이터가 연동되어 있어


학습 이력을 전송 받은 다음,


증명서를 떼주는 곳이지 학습을 시켜주는 곳은 아닙니다. 


공부는 직접 '국가 공인 기관' 에 가서 하셔야 합니다.


그 국가 공인 기관은 딱 2개만 외우세요.


EBSI와 K-MOOC 입니다.


그 중, 서울대는 K-MOOC 를 더 선호하는 것 같습니다.





4) K- MOOC (kmooc.kr)


케이무크 (K-MOOC)는 각종 대학 강의들을 공짜로 수강할 수 있는 사이트입니다.


특히 케이무크에서는 퀴즈나 중간 기말을 필수적으로 응시해야 하며,


따라서 학습에 대한 성취도 평가까지 제공해 줍니다.





들어가서, 회원가입 한 다음, 최대한 교과목과 엮을 수 있는 강좌를 발품 팔아 찾으세요.


예를 들어, 통계학을 검색하면 위처럼 "이야기로 배우는, 통계학 123" 이라는 강좌가 나옵니다.


이 강좌를 수강하고, 퀴즈 풀고, 중간 기말 제출하면




이런식으로 K-MOOC에서 이수증을 발급할 수 있습니다. 


이 서류를 떼서 서울대에 제출하면 되는거에요.


(K-MOOC는 자체적으로 이수증을 발급할 수 있습니다. 

평생학습이력증명서로도 K-MOOC에서 학습한 내용에 대해 증명서를 뗄 수 있으나, 

K-MOOC에서 발급하면 평가 점수가 나오기 때문에 더 추천됩니다.)





이수증은 이렇게 생겼습니다. 이정돈 해가셔야 서울대가


아 이 놈 그래도 노력 했구나. CC 주기엔 너무한데? 라는 생각이 들게 되겠죠?



5) EBSi ( ebsi.co.kr)



EBS도 강의를 완강하면 수강 증명서를 떼줍니다.




이런 식으로 수강 신청 한 다음, 

강의를 완강하면 수강증 발급을 해줍니다.


앞서 말씀드렸듯 서울대는 K-MOOC를 EBSi 보다 선호합니다.


EBSi는 얘가 틀어놓고 잤는지 제대로 공부했는지 검증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K-MOOC는 퀴즈도 풀고 중간 기말도 응시해야 하므로 검증이 어느정도 가능)


EBS는 도저히 K-MOOC에서 특정 교과에 연관된 강좌를 못 찾겠다면 쓰시면 됩니다.


예) 지구과학 강의를 K-MOOC에서 도저히 못 찾겠다 - EBS로 수강.






6) 그럼 교과는 뭘 들어야 하는데요?


대체서식 연번 중 생활기록부 / 검정고시 성적표를 제하면


총 8개의 공란이 남습니다.


대체서식의 취지상 국어 영어보다는 수학 / 사탐 / 과탐을 위주로 듣기를 추천합니다.


단순해요. 


국어 영어는 수능으로도 그 성취를 확인할 수 있지만, 

수학과 탐구는 수능만으로는 교과이수를 확인할 수 없습니다.


(예 : 지원자가 수능 과탐 2개만 달랑 하고 왔는지, 

투과목까지 충실히 공부했는지는 수능으로 확인 불가능)


따라서 


문과는 수학 + 사탐 (4개 정도) + 과탐 (1개 정도) + 국어 영어 (1개 정도)


이과는 수학 + 과탐 (4개정도) + 사탐 (1개 정도) + 국어 영어 (1개 정도)


이렇게 이수하시면 됩니다.


특히 한 연번에 여러가지 교과를 묶어서 기재 할 수 있으니, 최대한 많이 우겨 넣으세요.


ex) 교과목명에 하나만 적을 수 있는게 아니라, 물리학 I / II 이런 식으로 기재할 수 있음.




또 이과 학생들의 경우 핵심 권장과목 / 권장과목을 고려하여 과목 이수 하세요.



서울대 정시모집요강 뒷쪽에 기재되어 있습니다.





7. 결론


서울대 검정고시라고 CC 안 준다. 열심히 서류 떼가면 BB 주니까 좀 제발 제대로 준비하자.


저도 컨설턴트이기에 이 이상 정보를 드리기는 어려운 측면이 있습니다.


위에 적힌 대로만 열심히 서류 잘 떼오셔서, 


내년에 컨설팅 신청하시면 대체서식 구체적 작성부터 지원까지 도와드리겠습니다.


이상입니다.


Agent K

Fjord Consulting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