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에 의해 삭제된 글입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뭐든
-
살짝 고민했는데 오르비만큼 막 떠들 사람들이 없어서 오르비를 지나치게 많이 하는 것...
-
연인과 해보고 싶은 것 20
을 묻기 전에 연인 여부부터 좀..
-
그냥받아들이기로했음 22
본계맞팔오르비언 여섯명? 사소해사소해
-
심심하다 22
아무헛소리나해주세요
-
잘자요 9
아무도 없네
-
탄산을 못마셔서 21
맥주를 못마셔서 강제로 소주만 마셨는데요 그때 과일 막걸리라는 구세주가 와줬어요 맛있잖아...?
-
누구한테 줘야하지…
-
그림 24
이름과 특정 가능한 문구는 가리고 부끄럽다
-
전 그렇다 생각함
-
미적=기하=공통 13
비슷비슷한 논리인듯 다 하나를 잘하면 나머지도 잘할수박에 업다
-
하나도 안 풀음 그해 수능 영어 1컷 94에 2컷 87이었는데 86점 떠서 3등급 받음 아
-
덕코는 8
오르비에서 재미 주셨던 분들한테는 5천덕씩 그리고 그것보다 더 친했던 분한테는 만덕...
-
뭐가더 쉬울까요?
-
이 정도면 상여자임? 32
교문 나오면서 메가스터디에 답입력했음
-
비호감임? 여붕이는 아니고요..
본고사 부활안시키는거 ㄹㅇ 엄이긴함
진지하게 내신으로 변별가능하다고 믿는건가
서울대 일반은 어차피 특목고 파티라서 신경 안 쓸 수도 있음 ㅋㅋ
저렇게까지 내신 반영률 올라가서 낮은 점수 친구들이 내신으로 뒤집혀 올라오거나 하면 반수를 덜 할 것이라는 기대심리도 분명히 있을 것 같고..
서울대는 오히려 자기가 재능이 없다는 걸 깨닫고 반수하는 경우가 더 많아서 그럴지는 모르겠네요
물론 생기부 정성평가니 아예 관심도 없어보이는 애가 지원하면 그런 이유에서 감점을 때릴 수는 있을 것 같습니다
정성평가로 굳이 못박은 이유가 저 이유가 가장 큰 것 같아요
최소한 그 과에 관심이 있는가....애초에 이번 28변화에서 문과침공이라는 언급이 있기도 했으니...단순히 미적분/확통 수강했다고 이수과목 충족되었으니 BB이고 AA이고...이런 느낌보다 그냥 생기부 자체를 더 심하게 보고 수업을 제대로 들을 학생인가?에 의의를 두는 것 같네요
솔직히 내신이 그렇게 신뢰성 있는 지표인지도 좀 의문이 큽니다
지금은 아니지만 28부터는 정시로만 뽑는 게 오히려 더 신입생 기초학력 박살날 게 뻔합니다
ㅇㅈ
일부로 정시 망하라고 제사지내는 수준의 개편
사실 솔직히 수시가 좋고 내신 늘리자는 걸 노골적으로 드러내는거 같아서 좋게는 안 보입니다
내신도 근데 투과목도 사라지거나 절평화되고 엉망되서.. 사실 영재고 과고 아니고서야 다 수능 문제 하향된 내신 시험들인데
애초에 서울대 내신 반영은 학생부 종합 정성 평가입니다
교과식 줄 세우기를 하면 당연히 논란이 있겠지만 서울대가 기존에 하던 대로 정성평가 하겠다는데 내신의 신뢰성에 대한 것은 그리 문제가 안 될 것 같습니다
말이 좋아 정성평가지 정성평가 그리 잘 구현 안 되는거 같아 보였어요 학교 블라인드 아닐 때도 의문이였는데. 아무리 정성평가라 해도 학교 수준 선택과목 교과이수. 내신 문제 다 다른데
지금도 말만 블라인드고 다 알아요 서울대는
이거 맞말인듯요..교육과정 편성표가 넘어가서 짜피 어떤 학교인지 전부 파악도 가능하고 심지어 알게모르게 추적조사까지 하는 중임(이건 부장쌤 피셜)
정말 네임드 학교에 한정해서는 알 수도 있는데 그외는 잘 아는지는 의문이고. 솔직히 특정학교 이름을 안다고 해도 락교별로 수준도 천차만별이고. 내신 수준 선택과목도 다 다른데.
이름 유명한 학교들은 안다고는 하던데. 솔직히 정시에서 왜 저러는지 의문이긴 합니다. 이럴거면 수시해야하는거 아닌가 싶고. 수능은 전국의 공부 잘하는 학생들도 제압해야하는 시험이라 수준이나 공신력이 확실히 보장된 편인데.
정시라는 제도가 모두가 같은 시험을 친다는 공평함과 공신력이 있다는 장점도 있지만 이면도 존재하는 것은 당연합니다. 서울대는 과거부터 정시 제도를 그리 좋아하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한 번 정해지면 되돌릴 수 없는 내신으로 너무 낙인 찍는거 아닌가 싶어 유감입니다
당연하게도 오피셜은 아니지만 제가 어떤 소스로부터 들은 것이 있고 제 추측을 약간 가미했을 때
서울대는 “거의 모든 고등학교“가 어느 정도 수준인지를 다 안다는 말이었습니다.
입학처를 너무 합격발표나 하는 무능한 집단으로 보는 거 같은데 그렇지 않습니다..
제가 막 그렇게 무식하게 보지는 않았어요. 근데 그럼에도 그정도까지는 아니라고 봤죠. 그래도 서울대가 수시제도를 최대한 성의있게 운영하려는 의도는 알긴 압니다..
오 이건 좀 멋있네요 서울대
뭐 서울대 생각은 잘 알죠.. 근데 내신은 되돌리지도 못하고. 오히려 부모님 배경이 더 크게 좌우되고. 동네 학원 잘 다녀야하고. 선행도 더 가속화해서 유감이었습니다. 미국같은 경우는 주립대는 줄세우기로 시험으로만 선발하거든요. 사립대는 자율은 보장하고. 사실 미국은 대학 가고자 하는 사람만 가는 풍토이고. 혹여나 커뮤니티 컬리지에 진학해도 편입 제도가 활발히 존재하기에 편입으로 명문대학에 가는 제도도 엄청 활성화되서..
설대가 정시에 내신 안 보는 시기가 이례적이긴 했죠
그래도 최소한 과거에는 비교내신 제도라도 있었지 참 이게 뭔지... 그런 것도 없을 듯 한데
그쵸 비교내신도 없는 건 너무하긴 함
사실 23학년도부터 개정된 현행 제도도 영향력 크다던데...
정시에 내신 반영하던 시절 보면 적어도 스카이보다 서열 낮은 대학은 그냥 수능으로 갔고. 연고대는 정시의 70%였는지를 우선선발로 뽑기라도 했어요. 서울대는 그것도 아니었으니.... 다만 비교내신이라도 있었지
미국이나 서구의 발전된 나라같은 대학 문화가 자리잡을 수 있다면야 좋겠네요 아무쪼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