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2 몇가지 하고싶은말
칼럼은 아니고, 이번에 화2 수능을 보는 분들을 위한 내 생각이다.
내 생각이 정말 틀린 것 같으면 그냥 자기 생각을 따랐으면 좋겠다. 원래 남의 말 듣고 잘 안 되면 더 억울한 법이다. 나는 정보를 줄 뿐이고, 거기에 대해서 책임져줄 수 있는 사람이 아니니까 과목 선택이든, 공부법이든 본인 소신대로 하는 게 여러모로 좋을 것 같다.
1. PV=nRT에서 파생되는 변수 간 관계는 일단 전부 외우자. 안 외워도 직관적으로 이해되고 바로바로 튀어나오는 고능아면 상관없다. 그치만 압력, 부피, 온도는 보일-샤를 법칙으로 익숙하더라도, 몰수, 분자량, 밀도는 좀 생소하고 비직관적인 면이 있다.
예를 들어, 온도가 1/4배고 압력이 2배가 되었으면 부피는 몇 배일까? 이런 질문에는 답이 1/8배인 게 상식적으로 이해가 되고 빨리 답을 구할 수 있지만, 밀도가 1/4배고 압력이 2배가 되었으면 분자량은 몇 배일까? 여기서 1/8배인 게 직관적으로 나오는 사람은 솔직히 많지 않을 것이다.
어떻게든 머리를 굴려서 변수들 간의 관계를 연결시켜 볼 수는 있겠지만, 내 머리로는 수능 때까지 그걸 해내지 못했다. 그래도 문제는 빨리 풀어야 했기에, 밀도는 분자량과 비례. 압력은 분자량과 반비례. 이런 걸 그냥 다 머릿속에 박아넣고 반복 학습을 통해 숙달시켰다. 자다가 누가 깨워서 “밀도 1/4배 압력 2배면 분자량은?” 하고 물어보면 “1/8배죠” 하고 대답할 수 있을 정도로 연습했었다.
그냥 시험지에 PV=nRT PM=dRT 써놓고 보면 되는 것도 맞다. 그렇지만 수능 화학2는 타임어택이 큰 비중을 차지하는 시험이고, 1초라도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면 줄여야 한다고 생각한다.
2. 엔탈피 계산에서 일의 자릿수만 빼서 계산하는 기술은 상당히 도움이 된다. 요즘은 수치 대신 그냥 abc로 주고 식 쓰라고 하는 추세이긴 하지만, 서너 자리 사칙연산은 언제든지 나올 수 있다.
대학전쟁 출연자급이 아닌 이상 그걸 시험장에서 실수 없이 해내기는 힘들고, 시험장에서 힘들게 엔탈피 계산했는데 보기에 답이 없으면 멘탈 제대로 나간다.
뒷 자리만 모아서 빠르게 계산하는 건 속도와 정확성을 동시에 높이는 방법이기 때문에, 충분히 연습해둔 다음 시험에서 써먹어 보도록 하자.
3. 제발 문제에서 제시하는 조건 똑바로 확인하자. 반응식에 등장하는 게 g인지 l인지 s인지(간혹 액체나 고체 나오는 문제에서는 정답률 나락간다), 용기 부피 몇 리터인지, 액체/고체 부피 무시하는지(고체 부피를 고려해야 하는 문제도 출제된 적이 있다).. 등등 확인하는 절차를 꼭 거치자. 물론 시간 단축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아무리 시간을 단축해 봤자 문제 틀리면 다 의미 없다.
특히 내가 평소에 실수하지 않던 부분도, 시험장에서는 얼마든지 실수할 수 있다는 사실을 명심하자. 필자는 몰 농도 조건이 주어졌는데 몰수로 계산하는, 생전 해본 적 없던 실수를 수능 당일날 하는 바람에 수능 만점을 놓쳤다. 단순 실수라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결국은 내가 조건을 똑바로 보는 버릇을 들이지 않았기 때문에 생긴 문제이다.
수능 시험장에서의 압박감은 사람의 머리를 이상하게 만든다. 열심히 공부해 놓고 아깝게 틀리는 일이 없도록, 실수할 가능성이 1%라도 있다면 미리 생각해 두고 이걸 방지하기 위해 일일이 확인하면서 풀어야 할지, 아니면 그냥 시간 단축을 더 신경쓸지 전략을 정해 두자. 이건 비단 화학2뿐만 아니라 수능 전 과목에 해당되는 부분이다.
4. 꼭 모든 걸 완벽하게 풀려고 하지 말자. 한계 반응물 안 보이면 그냥 귀류 때려 보고, 1/3몰 반응하면 평형 될 것 같은데? 싶으면 빠르게 계산해 보고, 반감기도 대충 이거 1분, 이거 2분이면 되려나? 하고 계산해 보자. 어려워 보이는 문제는 선지 대입해서 푸는 게 더 빠를 수도 있다. 완벽하게 논리적으로 풀어서 맞힌 사람과 대충 찍어맞힌 사람이 받는 점수는 어차피 동일하다. 빠르게 풀 수 있는 방법이 있다면 무조건 그 방법을 써야 하고, 평소 공부하면서도 여러 가지 방법을 시도해 보면서 본인이 가장 잘 할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인지, 시험장에서 이 문제를 맞닥뜨렸을 때 나는 어떻게 할지 고민해보자.
5. 화학2 20번은 믿찍1이다. 21수능부터 25수능까지, 수능 20번의 답은 늘 1번이었다. 만일 내가 20번을 도저히 풀 수 없는 상황이고, 다른 번호로 찍을 만한 근거(ex: 19번까지 답 5번이 1개야!)가 없다면, 그냥 1번으로 찍고 기도하자. 미적 28번 답이 수 년째 2번인 것도 그렇고, 아마 이건 출제진들도 알고는 있는데 정답률 높여 주려고 일부러 유지하는 건가 싶다. 맞히면 좋은 거고, 틀려도 딱히 손해 볼 건 없으니까 못 풀 것 같으면 1번으로 찍어 보도록 하자.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2025 서울대 정시 지원자/예비 합격자를 위한 정보글 4
글 특성상 상당한 장문입니다. 여러 개의 문서에 흩어져 있던 정보들을 취합하여...
-
7만덬 주실 분 15
9만덬으로 갚아드림 언젠가
-
감상평) 이번 문제들은 전반적으로 난이도가 상당히 높으며, 단순한 어휘력이나 직관적...
-
참아야지
-
에휴
-
술먹고노래방특) 2
자기차례아닐때 술 점점 깸 ㅌ
-
빠워빠워
-
정보) 현재 난리 난 N PAY 대란 요약 . jpg 0
https://sbz.kr/zdk1D
-
역시 난 설뱃이 맞아 10
이게 훨씬 어울려
-
인싸 따라하기다 돈낭비다 오명 개많음 돈값만큼 이뿐거 많은데 ㅠㅠ
-
아직안끝났다구요
-
답은 안드려요
-
나는 잘하는게 잠자기밖에 없음 하루에 17시간 자기 ㅆㄱㄴ
-
심심혀
-
찌질락러버로써 여긴 진짜 레전드
-
물리 진짜 1
방인혁T vs 강민웅T 누굴 들을까요 오티 들어봤는데 둘 다 좋았어요ㅛㅛㅛㅛ 누구를...
-
수험생활 핑계대고 한번도 안가봤음 난 치매라는 뱡을 가까이 본적이 없어서 대면하기...
-
그래도 얘가 가성비 goat인데 고진많 고를걸그랬나
-
[빈칸] 3점. The conventional wisdom often adapts...
-
오르비언들 구해요
-
닉바꿈 7
헤헤
-
근데 5
드레이븐이
-
집앞에 시대인재 있는데 시대인재 문제 퀄리티가 좋다길래 문제받으러 다니는거 괜찮나...
-
에타 가입하고싶은데 합격자인증이안되요;;
-
진짜 급합니다 1
대성패스만 사고 강의 들을때 책을 강제적으로 안사고도 들을 수 있죠?
-
혼자가 좋음 2
ㅇ
-
질문받음 ㅇㅇ 0
-
이세계 트럭 만나고 싶다
-
빈란드사가 1기는 남자의 가슴을 울리고 2기는 인간의 가슴을 울린다 약사의 혼잣말...
-
우울메타네 14
탈출하기 잘자요
-
난 결혼할거임 11
부인은 9명에 애는 21명 정도 가정을 꾸리자
-
포기하지마 6
충분히 멋진 사람들이 왜이래
-
하찮은강사 0
하찮은강사 방법한사람 잇나여
-
말 너무 많아서 바로 삭제했다 미안하다
-
동시에 간편지원 여러개 해도 괜찮을려나
-
종신해달라는 팬들의 발언에 은퇴할때까지 하면 좋죠 발언 하람신 사람 설레게 하는데 재주있네..
-
지금 개정 시발점 하고 있는데 시발점 하고 워크북 3모때까지 복습 열심히 하는게...
-
술,담배를 파는 것도 아니고 청소만 하면 될것같은데 진상이 많으려나 흠 경험자있으신가
-
리리리리키미노 1
시아와세난테
-
20대는 너무 이르고 30 중반이면 날 아무도 안 만나줄듯
-
아이들 성인되는 건 조금이나마 젊을 때 보는 게 좋아
-
은선진... 김지혁... 이네들은 너무나 멀리 있습니다.
-
30이면 아직 석사따리 대학원생이란걸 깨달은 나 :
-
뭐가 좋은걸까 그보다 내가 여자였어도 안경 안쓰는 남자 좋아했을듯
-
1학년 경제수학 중간/기말 문제 구라가 아니라 ㄹㅇ 이거랑 비슷한 난이도였음.....
-
얼버잠 4
오늘은 재밌는꿈 걸리면 좋겠다 잘자요
-
오늘은 진짜 간다
-
매달 모의고사 1회 보고 국수영탐 원점수 합 x 10,000원 받기
5번 레게노네요
바로 스크랩 좋아요함
전 시험지에 1번 체크해놓고 풀기 시작했음
0. 웬만하면 하지 마라
이건팩트입니다
화2를 선택할 만한 전략적 이유가 없다면 안 하는 게 낫다고 생각해요
좋은글이네요. 개추
진짜 노력 많이 하셨단 게 느껴지는 글이네요
남들보다 부족한 재능을 노력으로 메우려고 했던 것 같아요 감사합니다!
5번이 20번 푼 사람들한테 통수친거라고 생각함
풀어서 맞힌 사람한텐 억울하긴 하겠지만.. 의외로 정답률은 상당히 낮더라고요. 실제로 1번으로 찍맞한 사람은 거의 없을 것 같아요
미적 28 개정이후 계속 답 2번인가요 ?
22 23 24 25수능 계속 답 2번이었을 거예요
3번 4번은 화1에도 통용되는 이야기 같네요
모든 과목에 다 해당될 만한 이야기 같아요
그렇긴 한데 특히 상태는 안보고 문제 못푸는 애들 꼭 있더라고요 ㅋㅋㅋㅋ
PV=nRT 무적의 최강공식
진심이 느껴지는 글이네요
화2는 언제부터 시작하셨나요?
고2 여름쯤에 시작했어요
개추박고갑니당
6. 값을 그대로 사용하지 말자 단순비율로 처리한 후 나중에 보정시키면 그만
감사링뇨~~
아 22수능 20번 틀렸는데 그 전에 이거 봐서 믿찍1 했으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