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훈T 유네스코 & 문학론
유네스코에 대한 해설이 너무 꼼꼼하고 좋다는 말이 많고, 이번에 표지도 예쁘길래 샀는데, 막상 해설을 보니 소설같은 경우는 강기분에서는 한문장씩 끊어가면서 해설이 되있고, 시공간 배경이나 인물정보도 다 언급되있었는데 유네스코는 문단별로만 끊어서 그냥 정리해놓으셨고, 행동 강령 같은거도 강기분이랑 크게 다른게 없어보이는데 어떤점이 굉장히 구체적이라는건가여? 강의에서도 작품에 대해 한문장 한문장 해설 하더는 않으시던데 문학론 강의를 들어야 유네스코 해설이도움이 되는건가요? 해설이 진짜라고 해서 엄청 기대했는데 강기분 해설보다 부실한거 같아서.. 강민철 쌤이랑 김상훈 쌤이 중요시 여기는게 달라서 그런걸까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예비 한명 빠짐 0
Tlqkf
-
핸드폰 수거 불필요하단 애들은 걍 ㅈ반고를 앙가봐서 그럼 1
양아치들 맨날 몰폰해서 쌤 화내고 분위기 ㅈ창나는거 개ㅈ같음 수업시간에는 걷게 해야함
-
[에듀플러스]시대인재, 기숙형 재종학원에 대치동 강사 대거 투입...기숙형 재종학원 시장판도 변화 1
시대인재가 내달 26일 개강하는 경기도 용인의 약 1억5000만평 규모의 재수종합...
-
2차 추합때 붙는다고 봐도 되나요? 기숙사신청이 2차추합까지라..ㅠ
-
남녀분반이였는데 나는 내 친구가 나만 바라봐주길 기대하고 걔만 바라보다가 인간관계...
-
대전한 1차 0
몇명 빠졌는지 아시는분???? 부탁드립니다.
-
2월 19일까지 추합 마감인데
-
오르비는 너무 훅훅가버려서 친해지기 어려워요
-
교내 휴대전화 제한?…교사 75% "필요" vs 학생 53% "불필요" 5
울산교육청, 설문조사…학부모 70% "휴대전화 수거 필요" 교사·학부모,수업 방해...
-
아시는분 답변부탁드려요 궁금해서
-
추합 0
소수과 점공상 1,2지망 합격한사람이 한명도없는데 7명중에 3명이 1차추합으로...
-
얼버기 2
-
부산대 최영운 학생 ‘치과의사 필기시험’ 전국 수석 영예 3
[파이낸셜뉴스] 부산대학교가 지난달 시행된 치과의사 국가시험 필기시험에서 전국...
-
잇올 이투스 중에 고민입니다 오르비 보니 잇올이 좋다는 의견이 많던데 전에 다른...
-
뭐가 문제지? 아직 안 풀린 건가?
-
삼반수보다 힘들까요..
-
ㅈㄱㄴ
-
고대 추합 2
생명공학 예비 6번이였는데 추합됐네여 다른분들도 꼭 원하시는곳 합격하세요
-
중대 솦 1차 추합 후 예비번호가 83이 됬는데 이거 될수 있을까요..? 0
총 인원 85명 중 1차때 55명밖에 안빠져서요..
-
확통입니다 아마 확통이 엄청 쉬움에도 불구하고 4점은 다 틀리고 3점에서도 3개나...
-
1주차2주차 이렇게있는데 주차별로 풀어야할ㅋ가요? 아님 시기를 좀 앞당기는게 좋을까요?
-
충북수1차 2
몇명 빠졌는지 아시는분 계실까용
-
개인적인 사정 때문에 여섯달동안 집 밖으로 못 나왔음
-
동대 합격 12
-
풀커리를 타면 오히려 공부가 안됐음 한강의듣는데 웬만하면 한달아니면 그이상인데...
-
추합 0
세종대 공과계열 208명 모집하고 예비141등에서 1차추합 예비89번인데 요건...
-
부산대 추합 0
빨리뜨면 좋겠다 부경대는 어제 바로 떴던데 최초 합격자 발표 안보이니까 곧 뜨나..
-
세종대 61명 뽑는 과에서 1차 12명 빠져서…
-
세종대 추합 0
200명 뽑는데 52명밖에 안빠짐 이거 맞냐?
-
가천의1차 0
가천대 의대 1차 몇명빠졌는지 아시는분 있으신가요?
-
아니 이거 따로 제출해야함??? 고등학교 졸업 증명서인가??
-
건대 행정학과 5
1차 추합 4명빠졌네 이게맞나 당연히 붇는다 생각했는데 아직 합격증 하나 없네 짜증난다
-
모닝롤 2
망해버린인생
-
당연히 빠집니다 뱃지 +1
-
안녕하세요 :) 디올러 S (디올 Science, 디올 소통 계정) 입니다....
-
아니 ㅅㅂ 뭔데 2
자고 일어났는데 노트북 블랙스크린 뜸... 해결 안될거같은데 이거 파일만 못꺼내나...
-
아주대 추합함 3
아주대 미모공 빠집니다
-
ㅈ됐다 0
전전 4명밖에 안빠지는게 말이됌? ㅅㅂ
-
원래 들어가시던 정시모집 합격자 조회로 들어가시면 됩니다
-
약 10여년전쯤처럼 점공도 뭐도 없던 시대였다면 좀 감춰질 수도 있는데 지금은...
-
..?
-
아니 이게 뭔 말도안되는
-
시대 단과나 강대 단과 다녀보신분들 질문 좀 받아주시면안될까요 0
강대 시대 재종 다니셨던분도 괜찮은데 아무래도 재종은 단과랑 느낌이다른것같아서요.....
-
마이고만 볼거같아요
-
하냥대 예비1 3
내일이면 합격이겠지....
-
수리논술 0
제가 수리논술이 처음인데 인강으로 시작해보려 합니다. 강윤구쌤이랑 대성 신재호...
-
메인글 관련 0
지역인재 약대 쓴 거 아니고요 고대 낮과 썼는데 폭나서 떨어짐. 국영수 333이...
-
주말에는 자신이 자습 신청해서 자율적으로 다니는건가요
-
백분위가 어케 되나용? 대략 98되나요?
-
64년생이심 ㄷㄷ 아직까지 강의하시는 게 대단
작품 분석보다는 선지에 대한 해설이 매우 꼼꼼하다는 의미입니다
선지에 대한 해설은 확실히 꼼꼼한거 같아요
혹시 유네스코랑 유네스코 알파로 기출분석 하려면 문학론을 듣는게 좋을까요? 이미 강기분을 수강하고 있어서 그냥 기출 한번 더 풀때 유네스코로 풀려고 하는데 문학론 안하면 효과가 좀 떨어질까여?
저는 기출분석을 할 때 작품 분석이나 접근 방법보다는 답 논리 위주로 분석했던 편이라
선지 분석이 철저한 유네스코가 딱 맞았었는데
그렇다고 해서 문학론을 새로 듣는 건 시간 낭비일 것 같네요 개인적으로는
문학론을 듣지 않고 유네스코만 봐도 충분할까요? 강기분 아직 독서밖에 안해서 필요하면 문학은 갈아타도되긴한데 다른분들 말 들어보니까 문학론이나 강기분이나 가르치는건 비슷하다고 하긴하더라고요..
본인 선택이긴 합니다 그러면
저는 김상훈t 수강생이였어서 문학론 -> 유네스코까지 커리를 탔었긴 해요
계속 질문해서 죄송한데 ㅜㅜ 개인적으로 생각하셨을때 문학론 도움 많이 되신거 같나요? 문학론은 약간 개념 설명 후 기출 문제에 적용시키는 느낌이고 강기분은 기출문제를 그냥 풀어가면서 개념이나 행동강령을 쌓아나가는 느낌인거 같은데 문학에 자신이 별로 없어서 김상훈 쌤 방법도 좋은거 같아서요
혹시 독서론 수강하셨다면 독서론은 어떤지 여쭤봐도 될까요 ㅜ (문학론에 대한 이야기밖에 없어서..)
독서론도 괜찮습니다 기본적인 독서의 대원칙과 실전적이고 간단한 행동강령 위주로 구성되어 있어요
주목해야 할 부분도 알려주시고 저는 되게 좋다고 생각했어요
그러나 저한테는,
제가 국어를 고3 이전에도 많이 공부했어서 그런진 몰라도 (고2때부터 사설모고 1등급..) ,
저는 그거 없이도 그냥 제 방식대로 독해해도 잘 되었던 것 같아요
굳이 그걸 생각할 필요가 없었고..
원래 그냥 읽고 푸는 스타일이라....
오히려 저는 PQSA니 무슨 구조니 그런 거 따지면서 읽으면 더 헷갈리더라고요
약간 구조독해에 가깝습니다 김상훈t는
그래도 이항대립 같은 건 좀 도움된 것 같네요
문학론에서는 좀 도움을 크게 받았던 것 같습니다
저는 문학이 약했는데
literally라고 강조하는 태도가 진짜 좋았던 것 같아요
문학의 독서화라고 해야 하나
그리고 유네스코에서 해설되었던 작품들도
단어 자체의 의미만을 가지고 필연적으로 답 논리를 구성하는 과정이
굉장히 좋았습니다 저는요
근데 문학에서 얻어갈 수 있는 건 F->M, literally 두 개 정도이고
(선생님 본인도 이 두 가지를 메인으로 가져가십니다)
F->M은 8월 전까지 못 깨닫다가 실모 풀면서 아 이래서 이걸 강조했구나.. 느껴졌긴 합니다
F->M은 사실 오답선지를 구성하는 패턴이라고 하면 정확할 것 같네요
저는 다른 강사는 들어보지도 않았고
그냥 문학론, 유네스코, 독서론 정도만 들었네요
EBS 연계때도 강의를 듣지 않고
김상훈t가 워낙 EBS로 유명해서 EBS를 부탁해 책으로 독학했습니다.
(이건 강의듣는 게 시간 낭비입니다)
어려운 작품만 강의를 들었는데 그게 전체에서 딱 두 작품입니다.
그래서 강민철t나 김동욱t 등 다른 강사들이 가르치는 방식은 잘 모르겠기도 합니다
강기분 같은것도 한 번도 책조차 본 적이 없어서....
저는 워낙 국어를 오래전부터 공부했어서 좀 특이한 케이스긴 한데,
저는 개인적으로 국어를 인강을 들을 필요는 잘 못 느꼈습니다.
긴 답변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ㅜ 일단 문학만 해봐야겠네요
네네 문학론은 추천드립니다
강기분 문학이 어떤지는 안들어봐서 모르겠지만 일단 문학론에 대해서는
다시 생각해 보니 저는 굉장히 많은 도움을 받았던 것 같아요
독서론은 다른 강사 강의를 들어보지 않아서 애매하네요 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