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원이 궁금한 한국어 단어가 있으신가요
분석해 드립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오늘 밤 샙니다 0
동참 하실분?
-
서강대 논술 출결점수 10% 보던데 이거 무단만 보는건가요 아니면 모든...
-
둘 다 노잼임
-
호쌤 훈쌤 차이 2
둘 다 들어보신 분이 얼마냐 되겠냐마는… 정병호쌤 정병훈쌤 강의 스타일에 어떠한 차이가 있을까요?
-
사반수 고민 0
선택과목은 언매 미적 화1 생1이었고 수능 등급은 현역 42242 재수 31321...
-
진짜 살자마려움 0
작년부터 인생이 급격하게 꼬여서 수직낙하 내리막길을 타고있는 느낌임 더 무서운건...
-
이거 게이임? 14
제곧내...
-
너무 기괴하고 영어실력(수능영어기준,회화말하는 것이 아님)을 평가하는 데에 있어서...
-
인지도 취업 등등이요!
-
근대 미적하면 안되나? 10
걍 이과니꺼 미적할라햣는대 수학 ㅂㅅ이면 무조건 확통이 답임?
-
이유가 대체 무엇인가요 정말 순수하게 진심으로 궁금합니다
-
올해는 뭐가 나왔을까 체크해보고 풀어도 보고 해보고 싶은 현장에서 피말릴게 아니라
-
행복하기 4
그럼에도행복하기 망한인생은신경쓰지말기
-
고대 쓰는게 나아요? ㅠㅠ
-
근데 코핌 컷은 3
어디서 퍼오는 거죠...?
-
뀨뀨 9
뀨우
-
연대로 가주세요...
-
11시간의 전사 1
내일 두 과목 시험공부 시작!
-
과는 크게 상관없어요! 인서울은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
고2 모고 1~2 인 거 같은데 깝치지 말고 확통할까요? 참고로 사탐 개념도 모르는...
-
3덮 5덮 8덮 일정은 미정인가요 아직?
-
하.. 분명 쎈까지는 수1보다 오히려 수2가 너무 재밌었는데 기출하니까 수2가 너무...
-
서성한만 가면 좋겠뇨
-
비트코인이라던가 유튜브라던가
-
궁금해용
-
주님 제발 내일도 최악을 면할 수 있게 해주세요...
-
ㄱㄱ혓
-
이명학 션티 0
둘중에 빈칸하고 순삽 누가 더 잘가르침?
-
바보같이 정시하지말고 공부못하는 학교가서 수시챙기는거나 주제도 모르고 과탐하지 말고 사탐런하는거나
-
감사합니다 5
부산 일반고에서 문과로 내신도 1점 중반인데 생기부랑 면접 빨로 붙었네요 항상 글...
-
능지 원숭이 대깨과탐러 드가자
-
진학사 4~5칸 약대 합격의 기운이 느껴짐
-
영어 인강 0
이명학 풀커리 타다가 션티 찍먹하려는데 뭐뭐 들어야되는지 추천좀
-
진학사 9만 2
돌파
-
등록 안 하실분 계신가요? 없으시죠? 제발 없다고해주세요
-
리처드 라포트(1996~) 헝가리 출생 보다시피 ㅈㄴ 잘생긴 외모와 그에 호응하는...
-
계실까여??? 인설 기준
-
자기객관화가 중요한듯 13
주제파악을잘해야 입시에서절망을안함 나도주제파악을했어야됐는데 너무내능력을과대평가했어
-
부산약 738은 어림도없이 741 헉..
-
애옹
-
특이 케이스인가요?
-
올해 현역이구 25수능 성적입니다 수학은... 3은 나올줄 알았는데 뭐 냉정하게...
-
오늘은 밤새야지 5
후후 과외돌이를 위해 가 아니라 놀기 위해
-
은테를 달고 싶어요
-
날먹도 맞지만 누가 뭐라건 의대를 갔으니 승자인 것도 맞다
-
- 롤드컵 5회 우승자 대상혁 - 젠장, 또 대상혁이야. 이 글만 보고 자려고...
-
딱 10년만에 다시 쳐보는 거네
-
외대 글캠 0
해외취직이 목표라 2학년때는 설캠 어문학과 수업 복전해서 꼭 듣고싶은데요 (집도...
강민철
god민철
나무위키에도 한자가 안 나와 있어...
똥
배설물을 뜻하는 말로 'ᄯᅩᇰ'과 'ᄯᅵ(현대국어의 유아어 찌)'가 있었는데 어두자음군은 음절 축약으로 형성되었다고 여겨지므로 'ㅅV동', 'ㅅV디'(V는 모종의 모음을 뜻함)였을 겁니다. 아마 'ㅅVㄷV'라는 오물을 뜻하는 모종의 어근에서 파생되었다고 할 수 있겠네요
찌마렵다
응가
유아어이고 힘을 주는 소리에서 왔을 겁니다.
오징어
烏賊魚
魚의 초성은 본래 음가가 없는 ㅇ이 아니라 ng소리의 옛이응이었기 때문에 賊(즉)의 ㄱ이 비음화된 것
왜 까마귀 오 일까나
烏가 까만 게 먹물색과 겹쳐서...? 잘은 모르겠음
저 중1때 교과서에서 언어의 역사성을 딱 저 예시로 설명했는데, 바다에서 날아다니는 까마귀를 오징어가 잡아채서 먹이로 삼았다는 말에서 까마귀 오, 도둑 적을 쓰는걸로 알아요
烏賊라는 표현이 본래 중국에서 쓰이던 표현인데 중국에서도 그러한 설이 없는 건 아닙니다. 다만 민간어원일 수 있다는 점이 걸립니다. 물론 烏와 賊이 함께 쓰였다는 점을 설명하기엔 그러한 점이 가장 합리적으로 보이기도 하지만요
모자 의자
모두 한자어
帽子와 倚子. 子는 중국어에서 접미사로 쓰입니다.
뷁
break를 한 음절에 나타나려고 애쓴 표기
맑스 ㅋㅋ
오줌
알 수 없음. 고문헌에 '오좀'으로 나타나긴 하는데 혹시 '싸움', '기침'처럼 모종의 용언에서 파생된 말일지도
독도새우
독도+새우. 독도 근처에서 잡혀서
짝짓기
짝짓-+-기
'짝짓다'에 명파접 '-기'가 붙은 말. 짝을 짓다 말 그대로 쌍을 이루게 하는 것이 섹스한다는 뜻으로 확장
X지와X지의 어원에 관한 메인글이 있었죠...
어허
제주도
먼 바다를 건너야 되는 고을 濟州
감성 지리네
시나브로
'시납시납'이라는 의성어가 쓰였기 때문에 '시납'이라는 어근에 '으로'가 붙었다고 파악 가능. 아마 부사격조사일 듯
시납시납은 무슨 뜻인가요?
"틈틈이. 새새. 겨를이 있는 대로"의 뜻으로 수정증보조선어사전(1940)에 '시나브로'와 '시납으로' 모두 실렸었는데, 아마 '시납시납'도 같은 뜻이었을 겁니다.
용두질
농기구 '용두레'에서 온 것으로 보임. 용두레를 양손으로 잡고 퍼올리기 때문에 수음과 비슷해 보였을지도
고기
안타깝게도 고려 시대 때 姑記로 쓰였단 점에서 고려 시대 때도 '고기' 정도였겠구나라는 것 외에는 알 수 있는 정보가 없습니다. 기록이 너무 없어요
쉬라몬
일본판에서의 이름은 점박이물범을 뜻하는 고마후아자라시(ゴマフアザラシ)가 유래인 고마몬.
한국 명칭인 쉬라몬은 여기서 물범을 뜻하는 '아자라시'의 '라시'를 뒤집은 시라+피쉬로 추측되지만 정확한 사실은 불명
꺼무 피셜
똥, 방귀 등의 어원이 갑자기 궁금해졌어요
트림도
방언 같은 걸 참고하고 또 격음의 역사를 생각해 봤을 때 '*기드림' 정도였을 겁니다. '기침'이나 '재채기'처럼 모종의 용언에 명사파생접미사가 붙은 꼴이 아닐까 생각해 보기도 했지만 '트름'이 단순히 방언형이고 16세기부터 '트름'이 아니라 '트림'으로 나온다는 점에서 그렇게 보기가 좀 꺼려집니다.
https://orbi.kr/00069266283/
똥은 위에서 얘기했고 방귀는 放氣에서 왔을 겁니다. 성조도 맞고 고문헌(불교서 같은)에서는 주로 순화해서 표현하거든요. 바람을 놓다
와 대박.. 방기였구나.. 바람을 놓다.. 신기하다
양말도 궁금해요
아 이건 유명해요. 표국대에서도 洋襪로 제시합니다. 서양에서 왔는데 용도는 버선이랑 똑같아서 그래요
아니 뭐야 양말이 한자어였군요..! 충격
양파 양동이 양배추 등...
비슷한 경우로 '당근' '홍당무' '당나귀'
당나라 때 건너온 애들이군요
아줌마 아저씨
https://orbi.kr/00069781468/ (댓글까지 보시면 이해됨)
댓글에서 말한 '앚-+아바'가 '아자바'인데 여기서 '아자'가 어근인 줄 알고 착각한 언중들이 '아자'에 '씨'를 붙여서 '아자씨'로 쓰게 되는데 그게 '아저씨'로 굳어집니다. 본래 '아자바'에서 온 말이니 친족 어휘로 쓰였으나 시간이 흐르면서 친족 어휘가 아니어도 쓰이게 됩니다.
'아줌마'는 링크의 댓글에 있으니 참고 바라요
안마
按摩
누르고 按
문지르다 摩
팔몬
야자수를 뜻하는 パルモ(パーム)+몬. 저 일본어는 palm에서 왔어요
밥먹었수산시장?
https://www.goodgag.net/168334
모 유저의 다분한 노력의 결과
모기가 mosquito에서 유래됐다는데 맞나요?
아니요. 개소리입니다. 15세기 국어로는 '모ᄀᆡ'였고 삼국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는 단어입니다. 상식적으로 그때 스페인어의 영향을 받았다고 하긴 어렵겠죠. 애초에 15세기로만 따져도 스페인어 차용일 리가 없습니다만
나시,조끼
나시: 袖無し(소매가 없다). 여기서 '없다'를 뜻하는 '나시'가 민소매로 굳어짐
조끼: 포르투갈어 jaqué가 일본어에선 チョッキ에서 온 말
https://ja.dict.naver.com/#/entry/jako/2c8f35faf351408d9423772b8e4a9737
와 대단... 좋아요 눌렀어요
곰팡이
곪다하고 관련이 있을까요? ㅎㅎ
'곰+픠(피다)-+-앙이'입니다. 원래 '곰팡이'를 뜻하는 말로 '곰'이 있었어요
근데 '곰팡이'의 '곰'이 '곪'이려면 '곪다'의 어간 '곪'이 명사로도 쓰였다고 봐야 합니다. 물론 '신-신다', '낳(나이)-낳다', '띠-띠다'처럼 그러한 경우가 없는 건 아닙니다. '곪다'도 '신다', '낳다'처럼 어간/명사로 쓰였다고 봐야 하지 않을까.
하지만 애초에 '곪'이라는 명사가 보이지도 않고 '곰'이 '곰퓌다'의 형태로 16세기 문헌인 훈몽자회에 문증돼서 '곪'과 관련이 없을 것입니다. 이때는 ㄹㅁ이 다 발음됐을 때라서 '골므' 정도의 발음이었을 거거든요
헤응 이요 일본어 유래인가요?
사전에도 없을 듯한데...
흠... 이건 모르겠습니다...
아로새기다
18세기에 '아로사기다'로 문증되고, 우리말샘에서는 17세기에 '아르사기다'가 쓰였다고 하지만 가례언해에 그러한 용례가 있는 것 같지는 않습니다. 아마 오류거나 혹은 탈각(오자)일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
아무튼 '아로사기다'를 가장 고형으로 본다면 '사기다'는 당연히 '새기다'라는 뜻입니다. '아로'가 문제인데 확실한 어원은 없습니다만 '아로새기다'의 뜻풀이 '무늬나 글자 따위를 또렷하고 정교하게 파서 새기다'를 고려하면 '아로'가 '알-+-오' 구성일 수 있습니다. 즉 '알게 새기다'라는 정도의 의미라 볼 수 있습니다.
쉬라몬
윗댓 참고
아니꼽다
'안이 굽다'에서 왔다는 설이 인터넷에 떠돌고 있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만 두 가지 문제가 있습니다.
1. '안'은 ㅎ 말음 체언이었기 때문에 '안히'가 되어야 함. 물론 ㅎ이 약화되었을 순 있지만 16세기부터 쭉 ㅎ이 보이지 않는 점은 그러한 어원설이 맞는지 의심스럽습니다.
2. '굽다'는 ㅂ 불규칙 용언이 아닙니다. 실제로 '굽다'와 같은 뜻으로 '곱다'가 있었지만 이 역시 규칙 용언으로 '고바'처럼 쓰였지, '고와'나 '고ᄫᅡ'로 쓰이지 않았습니다. 즉 16세기부터 ㅂ 불규칙 활용을 보이던 '아니꼽다'와 '곱다/굽다'는 어떠한 관련도 없습니다.
얘기가 좀 샜습니다만, 아무튼 '아니꼽다<아니ᄭᅩᆸ다'의 어원은 '아니+곱다(pretty)'로, 곱지 않다 즉 역하다라는 뜻입니다. 여기서 ㅅ은 사이시옷입니다. 물론 일반적인 사이시옷의 출현 환경은 아니지만 '건넛마을'처럼 명사+명사가 아니더라도 언중이 명사로 착각하거나 명사로 인식했다면 충분히 그러한 현상이 나타날 순 있습니다.
언매에선 사이시옷이 체언+체언에만 온다고 보기 때문에 이러한 경우는 다루지 않습니다.
제가 한 번씩 쓰는 단어인데 의외로 고운 단어에서 유래가 됐네요..ㅋㅋ 감사합니다
짱개 쪽바리
짱개: 중국인 사장을 '장궤'라고 불렀는데 그게 변해서 '짱깨'가 됩니다. 장궤>짱궤>짱개>짱깨 이 정도로 정리할 수 있는데 짱깨집이 중국집을 의미하게 되는 건 비교적 최근의 일입니다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82828&cid=50802&categoryId=50807
쪽바리: 쪽발+-이. 원래는 '쪽발이'로 쓰였는데 어원 의식이 옅어지면서 '쪽바리'로 쓰이게 됩니다. 쪽발이는 본래 cloven feet 즉 두 쪽으로 나뉜 발을 뜻하는 말이었는데 게다나 쪼리를 신는 일본인들의 발이 마치 쪽발이와 같아 일본일을 비하하는 말로 쓰이게 됩니다.
미시
영어 Missy(Miss에서 온 말). 근데 본래 Miss는 결혼하지 않은 여성을 뜻하는 말인데 한국으로 넘어오면서 바뀜 ㅋㅋㅋㅋ
질펀하다
질다 + 펀펀하다(=판판하다=평평하다)
어근만 뽑아서 '질펀'이라는 어근이 만들어지고 뒤에 '하다'가 붙은 듯하네요. 질펀거리다도 같은 구조고
버드나무
버들+나무 구조에서 ㄹ이 탈락한 겁니다.
야하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야하다' 하면 '천하게 아리땁다'를 뜻하는 '冶하다'와 '천박하고 요염하다'를 뜻하는 '野하다' 이렇게 두 가지가 있는데요, 둘의 의미 차이가 그렇게 크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뭐가 먼저인지를 따져야 합니다.
20세기 자료에서는 무늬가 화려하거나 원색 계통으로 색상이 강렬한 느낌을 줄 때 주로 ‘야하다’를 사용하였는데, 이는 ‘冶(예쁘다)’의 의미가 발전한 것으로, ‘천하게 아리땁다’라는 의미를 나타냅니다. 또 20세기엔 상스럽고 비속한 말을 ‘야한 말’이라고 하였는데, 이는 ‘비속하다, 천하다’라는 ‘野(야생, 날것)’의 의입니다.
그러다 20세기 후반에 '선정적이다'를 뜻하는 '야하다'가 보이는데 '冶하다'의 ‘천하고 아리땁다’라는 의미가 변한 것으로, 화려한 무늬나 강렬한 색상에 사용하던 ‘冶하다’가 노출이 심한 옷 등에 사용이 되면서 선정적이라는 의미를 획득하게 된 것입니다. 그러나 하필 그게 또 비속하고 천하다를 뜻하는 野와도 의미가 겹치는 부분이 있어서(성적이고 선정적인 것은 비속하고 수준이 떨어진다고 여겨지기 때문에) 여러 사전에서 둘을 유의어 취급합니다.
이질적이다
異質+-的
바탕/성질(質)이 다른(異) 성격(的)을 띠는
오두방정, 깨방정
이거 국립국어연구원에 문의해도 모른다고 하긴 하던데...
'방정맞다'의 '방정'은 '찬찬하지 못하고 몹시 가볍고 점잖지 못하게 하는 말이나 행동'을 뜻합니다. 여기에 '오두'가 붙어 '오두방정'이 된 것인데 수정증보조선어사전(1940)과 큰사전(1957)에 '오도방정'으로 실린 걸 보면 원래는 '오도방정'이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렇다면 그나마 엮을 단어로는 '오도깝스럽다' 정도가 있겠는데 왠지 '호들갑'과도 연관이 있어 보이는 단어입니다. 정확히 설명하기는 어려운 단어네요.
오두방정의 방언형을 보면 '참깨방정', '좁쌀방정', '깨방정'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방언형을 통해 추정할 수 있는 건 깨가 떨어질 때의 모습이나 혹은 깨를 볶을 때의 톡톡 튀는 모습이 마치 방정맞은 사람과 같아 그러한 표현이 생겼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