ㅇㅇ23 [1320523] · MS 2024 · 쪽지

2024-10-13 11:50:52
조회수 1,180

언매황들아 제발 도와줘

게시글 주소: https://cheetar.orbi.kr/00069468036

왜 값없이-> '값/없이'가 아니라 '값없-+-이'로 형태소 분석되는거야?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범부여 · 1325791 · 10/13 11:51 · MS 2024

    '값없다'라는 용언이 있으니 그 용언에 부사파생접미사 '-이'가 붙었다고 보는 것입니다.

  • 연세대학교 사범대학 · 1173108 · 10/13 11:52 · MS 2022

    값없다 라는 단어가 통짜로 있음.

  • 정 신차려이각박한세상속에서 · 1267811 · 10/13 11:55 · MS 2023 (수정됨)

    '-이'는 부사형 파생 접사 (동사 → 부사 품사바꿔주는 접미사)

    접사이므로 형식 형태소

    참고로 값없이는 '값이 없이'에서 조사가 생략된 합성어이므로 통사적 합성어, 따라서 '값'과 '없'도 어근으로 분류하는게 맞음

  • 범부여 · 1325791 · 10/13 11:56 · MS 2024

    국립국어원에 따르면 합성어가 아니고 파생어입니다.

  • 범부여 · 1325791 · 10/13 11:58 · MS 2024

    형태소를 분석하면 어근 자체야 '값'과 '없'이 맞죠. 직접구성요소는 '값없-'과 '-이'입니다.

  • 정 신차려이각박한세상속에서 · 1267811 · 10/13 12:29 · MS 2023

    찾아봤는데 '-없다' 형식의 용언을 파생어로 볼 것이냐, 합성어로 볼 것이냐가 현재 학자마다 이견이 있다고 함.

    만약 값없이를 님처럼 <값없/이>로 보면 님 말대로 파생어가 맞고
    내 말대로 하면 합성어+파생어 형태이므로 합성어가 맞음.

    국립국어원도 서론에 견해차가 있을 수 있다고 이야기함.다만, 님 의견이 주류인 것은 맞는 듯.

    아래는 근거임. 맨 마지막 문단 읽으면 됨. 이견이 있다고 명시하고 있음.

  • 정 신차려이각박한세상속에서 · 1267811 · 10/13 12:30 · MS 2023

    이견이 있다는 부분에서 이게 합성어냐 파생어이냐는 수능에 출제는 안 될 듯. 다만 형태소 분석은 나올 수 있겠죠.

  • 범부여 · 1325791 · 10/13 12:35 · MS 2024 (수정됨)

    어 근데 저26항은 '없이'에 관한 게 아니라 '없다'에 관한 겁니다. '-하다'라고 하는 이유는 '딱하다', '착하다' 등이 파생어이기 때문인데 현재 학계에서 이견이 있다고 하는 부분은 '없다'의 접사 인정 여부입니다. 표준국어대사전은 현재 접미사 '-없다'를 인정하지 않고 있고, 여기서 말하는 통례란 '-없다'를 접미사로 보는 것을 말합니다.

    그러나 현재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없다'가 접미사가 아니므로 'X없다' 자체는 합성어로 보는 것이 적절할 것입니다. 그리고 'X없이'는 이 합성어에 접미사 '-이'가 붙었다고 봐야겠고요. 그리고 님이 올리신 조항은 1988년 맞춤법 해설인데 지금과 맞지 않는 부분이 꽤 있다는 점 참고 바랍니다.

    https://x.com/urimal365/status/386020521113972736

  • 정 신차려이각박한세상속에서 · 1267811 · 10/13 12:49 · MS 2023

    -없다를 합성어로 볼 것이냐, 파생어로 볼 것이냐가 '-없이'의 합성어/파생어 여부를 결정하기 때문임.

    -없다가 합성어라고 주장하는 입장의 논리는 '값', '없'을 분리해서 따로따로의 어근으로 보자는 이야기임. 이는 '값없이'를 [어근+<어근+부사형 접사 '이'>]로 해석된다는 것을 허용하는 것-따라서 합성어+파생어이므로 합성어로 해석이 됨.

    근데 님처럼 파생어로 보면 값없/이이므로 '값없'을 하나로 처리, 어근+접사로 심플하게 파생어 처리가 되는 논리.

    결국 -없다를 어떻게 보느냐가 이 논란의 핵심임

  • 범부여 · 1325791 · 10/13 12:56 · MS 2024

    그것과는 상관이 없습니다. 합성어로 보더라도 그 합성어에 접미사가 붙은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없다'를 접미사로 보겠다는 의견은 없다 앞의 성분이 불구어근/비자립적어근이기 때문인데 '상관없다'처럼 앞의 형태가 비자립적어근이 아니라면 파생어로 볼 필요가 없습니다. 그러니 표준국어대사전은 '상관없다' 같은 말을 합성어로 처리하고 있고 그 합성어 뒤에 '-이'가 붙었다고 보는 것이죠.

  • 정 신차려이각박한세상속에서 · 1267811 · 10/13 13:40 · MS 2023

    이 부분은 제가 논거를 잘못 인용한 것 같습니다.


    제 의도는 '값없다'를 합성어로 볼 것인지 단일어로 볼 것인지가 관건이라는 이야기를 드리고 싶었습니다만, 찾아보니 '값없다'는 합성어이고 '값없이'는 파생어로 표준국어대사전에 나와있네요.

    저는 '값없다'가 합성어라면, '값'과 '없'은 분리된 개별의 어근으로 보는 것이니까 '값없이' 또한 '값'과 '없'을 별개의 어근으로 치고, 직접구성성분 분석에서 <값/없이>라 될 것이라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표준 국어대사전에서 '값없-이'라 나와있는 걸 보면 제 생각에 오류가 있는 것이겠지요. 근데 이 부분이 잘 이해가 안가는 것입니다.

    직접구성성분을 나누는 기준이 제가 아는 기준이 맞다면 왜 값없이가 값없-이가 되는 지 모르겠습니다. 물론 값없-이가 납득이 안되는 건 아니지만...

    <값없다>에서는 값/없다로 나뉘고
    <값없이>에서는 값없/이로 직접구성성분을 나누는 이유가 뭔지 모르겠네요.

  • 범부여 · 1325791 · 10/13 12:57 · MS 2024 (수정됨)

    감쪽같이나 굴뚝같이 같은 경우도 '감쪽같다', '굴뚝같다'라는 합성어에서 나온 파생어로 처리합니다

  • 범부여 · 1325791 · 10/13 14:03 · MS 2024

    "직접 구성 요소 분석 시에는 특히 두 가지를 고려해야 한다. 첫째, 직접 구성 요소로 분석되는 말이 실제로 존재하는가 하는 점이다. 가령, ‘살얼음’은 ‘살-’과 ‘얼음’으로 분석해야 하는데, 만약 ‘살얼-’ 과 ‘-음’으로 분석하면 ‘살얼다’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잘못된 분석이 된다."

    17학년도 9모

    우선 '값없이'를 '값/없이'로 분석하나 '값없-/-이'로 분석하나 '값', '없이', '값없-'이 모두 존재하기 때문에 저 기준으로 나누는 건 의미가 없습니다.

    그렇다면 어떤 말이 먼저 생겼는지를 보아야 하는데, 아마 국국원은 언중이 '값없-'을 먼저 생성해 냈고 그 뒤에 접미사가 붙어 '값없이'가 생겼다고 보는 견해일 겁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없이"나 "*같이"를 검색해 보시면 'X없다', 'X같다'라는 표제어가 있는 단어의 경우 모두 붙임표가 'X없-이', 'X같-이'처럼 되어 있을 겁니다. 즉 'X없다/같다'라는 말이 먼저 생성되고 나서 그 뒤에 접미사가 붙었다고 보는 것이죠. 문제는 '없이'와 '같이'가 이미 별개의 단어로 존재하지 않느냐인데 용언에서 파생되었다고 보는 것이 더 자연스럽다고 보기 때문인 듯합니다.

    이와 비슷한 기술은 '짓밟다-짓밟히다'와 같은 파생어의 피사동사에서도 보이는데 표준국어대사전은 이 둘을 각각 '짓-밟다', '짓밟-히다'로 분석합니다. 이 역시 '짓-'이라는 접두사도, '밟히다'라는 단어도 있지만 '짓밟-히다'로 분석하는 이유는 '짓밟-'에서 피동이 되었기 때문입니다.

    아마 이와 비슷하게 '값없-'에서 부사가 됐다고 보는 듯합니다.

  • 범부여 · 1325791 · 10/13 12:30 · MS 2024

    그죠. 그래서 표준국어대사전에서도 주류를 따라 파생어라고 명시하고 있는 거고요

  • 정 신차려이각박한세상속에서 · 1267811 · 10/13 12:31 · MS 2023

    덕분에 심도있는 공부하고 감. ㄱㅅ

  • 범부여 · 1325791 · 10/13 13:34 · MS 2024

    물론 모든 문제집이나 교과서가 표국대와 일치하지는 않습니다. 다만 문법에는 견해차가 있는 내용이 많지만 보통 국가 차원에서 공식적으로 작성한 표준국어대사전을 따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평가원은 아니지만 과거 학평에 나온 '늦잠'을 비통사적 합성어로 설명하는 선지에 대해 표국대에서는 '늦-'을 접두사로 보고 '늦잠'을 파생어로 처리하기 때문에 문제 오류 처리가 되었습니다. 이때도 '늦잠'을 비통사적 합성어로 보는 문법서는 많았고 '늦-'의 접사 여부가 견해차가 있었습니다. 그렇지만 문제 출제 시 표국대의 견해를 따르려는 경향이 있으니 표국대의 견해를 따르는 게 적절하지 않나 싶습니다

  • ㅇㅇ23 · 1320523 · 10/14 12:17 · MS 2024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