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의 분리 상위호환
과외준비를 하다가 이번 6모 15번과 작년 9모 13에가 어떤 관점이 동일하게 쓰인다는 것을 알았는데요,
특히 9모 13번을 이렇게 푸는 것은 처음 봤다고 하네요.
앞으로 근의분리는 쓰지 마세요. 오늘 알려드리는 이 방식이 근의 분리를 거의 완전히 대체할 수 있습니다
(글 맨 마지막에 조건 달아뒀습니다.)
일단 이번 6모(2025학년도)입니다. 문제를 다 풀진 않을거고, 맨 마지막 부분만 볼게요. (나) 조건을 통해 k=2인 것까지 구한 상황입니다.
k=2니까 g(x)가 미분가능하려면 f(2)=2, f'(2)=2여야 합니다. 최고차항 계수가 1인것도 아니까, 문자 하나만 가지고 식을 세울 수 있습니다.
이렇게 말이죠.
(가) 조건에 의하면, 얘가 x가 2보다 큰 곳에서 항상 증가해야 합니다. 그럼 당연히 도함수 관찰을 해야겠죠.
아, 센스 있게 2만큼 왼쪽으로 평행이동해서 봐도 되는데(저도 풀 때 그렇게 했구요) 헷갈리는 독자도 있을 수 있기에 여기선 그대로 갈게요. 괜히 과정 추가하지 않겠습니다.
아무튼 미분해보겠습니다.
냅다 판별식 쓰면 안 된다는 것은 알고 계실겁니다.
함수가 x축과 두 번 만나지만 x가 2보다 클 때는 x축보다 위에 있을수도 있으니까요.
난 그냥 그렇게 해서 맞았는데? 하시는 분들은 운이 좋으신 겁니다. 이 문제에선 결국 그게 답이긴 하더라구요 ㅋㅋ
여기서 a 범위를 나눠서 푸는 분들도 있습니다.
그건 올바른 풀이지만, 완전히 상위호환인 다른 풀이가 있어요. 그걸 지금 알려드리겠습니다.
일단 부등식에서 모르는 문자가 있는 부분을 넘겨버립니다. 그 뒤에 기하적인 의미를 부여할겁니다.
왼쪽은 완벽하게 그릴 수 있는 이차함수고, 오른쪽은 (2,0)을 지나면서 a에 따라 기울기가 달라지는 직선이죠.
이때 “직선이 항상 이차함수보다 아래에 있어야 한다” 라고 해석해주시면 됩니다.
그럼 기울기가 점점 가파라지다가 딱 접하는 순간까지 가능하겠죠? 그때보다 기울기가 더 커지면 직선이 더 위에 있는 순간이 생깁니다.
반면 기울기가 음수라면 음의 무한대까지 계속 가능할 겁니다.
x가 2보다 큰 곳에서는 여전히 아래에 있기 때문이죠.
그럼 접하는 순간 계산해볼게요.
a는 플마 루트 6인데, 둘 중에서 우리가 원하는 순간은 -루트 6일겁니다. 그래야 빨간 직선의 기울기가 양수가 되기 때문이죠.
a의 범위는 -루트6보다 크다가 되겠네요.
2024년 9평 13번에도 이걸 적용해볼게요.
저도 이렇게 빨리 풀릴 줄 몰랐는데, 아주 빨리 풀 수 있습니다.
얘도 당연히 도함수를 관찰해야겠죠.
연두색 영역에 도함수가 그려져야 합니다. 파란색 함수처럼요.
반드시 (-1,0)을 지나야 하겠네요.
왼쪽 함수에 대입해봅니다.
b=2a-1이 나오겠네요.
도함수의 오른쪽부터 관찰해보겠습니다. 아까 했던 거 똑같이 할게요.
a범위 구했습니다.
왼쪽에서 새로 추가되는 조건은 없습니다. 이미 이 조건만으로도 왼쪽 구간 함수는
y절편이 양수고
(-1,0)을 지나므로
아까 말한 연두 구간에 그려집니다.
우리가 구해야 하는건 a+b의 최대최소 즉, 3a-1 의 최대최소값입니다. a 범위를 아니까 다 구한 셈이네요.
네 여기까지입니다.
부등식으로 인식한 뒤에 약간의 변형을 가해주어서 기하적으로 관찰하는 방법을 알려드렸습니다.
문자범위 나눠서 하는 것보다 훨씬 빠르고 실수 확률이 적은 풀이라 생각합니다.
한 마디 덧붙이자면, a로 묶인 부분이 기하적으로 깔끔하게 해석이 가능할 때 이 방식을 쓸 수 있습니다.
그럼 언제 깔끔한 해석이 불가할까요?
a의 계수가 이차도 있고.. 일차도 있고 이런 식으로 여러 개가 있다면 기하적 의미를 부여하기 힘들 겁니다.
즉 문자 계수가 하나로 한정된 상황에서는
이 방식이 근의 분리를 완전히 대체한다고 말할 수 있겠네요.
다음에 또 좋은 글로 찾아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0 XDK (+1,010)
-
1,000
-
10
-
이게 대체 뭐임 2
오르비 무섭노
-
저정도면 법적으로 뭔가 해야 해결될것같은데
-
ㄹㅇ
-
무슨일이고 0
???
-
오늘의 수학꿀팁 5
미적분에서 합성함수 문제가 뜨면 그걸 미분 하지말고(본질에서 멀어지는 행위)...
-
독해 실패했음 1
작년 강기분 꺼내서 복습해야겠다
-
빨간맛 나올때 4
초3이었음 정글의법칙에서 빨간맛 부른 멤버 나온 편이 있엇던 기억이...
-
모르겠고 19
애인이랑 저런 갈등도 생길 일조차 없는 내가 패배자다
-
그냥 포기
-
고우키 만나면 절명임
-
타학교 갈수도 있어서...
-
좀 게임이론식으로 다가가볼게 둘 다 최선의 선택을 한다 가정해보자. 그럼 무승부...
-
모든 일이 다 밝혀지고 뭐라해도 늦지 않습니다 여러분의 일이 아니기에 더더욱 중립
-
한 챕터당 몇개정도 틀려야 "이 친구 정시파이터로써의 기본이 되었군"정도임?
-
오타누 해결법 2
우리가 선동해서 둘이 야차룰로 뜨게하면 됨 ㅇㅇ
-
수학학원을 현재 토일 밤 6~10,4~8시로 다니고있는데 아버지가 수학 선생이 뭐...
-
아마 저를 모르는 분이 99%겠죠..?
-
오타니 은가누 8
https://youtube.com/shorts/ZrA8uDIBteQ?si=CH6BT...
-
작년 7모 수학 백분위 99받고 나름 자신있는 상태에서 여름방학때 설맞이 사서...
-
멍청한 놈들아
-
푸는게좋긴한데 그거 못 푼다고 딱히 문제없는듯
-
와 메인 뭐야 1
드라마냐?
-
구하기가 힘들어서..
-
왜 은가누는 지능이 없다 가정하는거야
-
대략적 난이도: 어삼~14번 전반적 난이도 1~3번: 어삼 4번: 11 나머지:...
-
오타니 빠따맞고 대가리 깨져있을 듯
-
은가누 이미 바닥에서 울고있다
-
그냥 은가누야
-
수12 Mx 1~2문제랑 Ex는 싹 다 못풀었는데 드릴 풀고 다시 와서 도전하는거 ㄱㅊ나여?
-
오타니가 취해서 소주병 들고 있어도 아무도 못말릴듯ㅇㅇ
-
대학교 채팅방.. 이런거 어떻게 들어갑니까? 시간표는 언제 짜요? 하나도 모르겠는데...
-
의공학 아니면 공학 분야 쪽으로 가고 싶은데 물 새우보다 물 지가 나을까요?...
-
하아아ㅏㅏㅏㅏㅏ
-
라이트급 이상에서 뛰는 상위 랭커면 충분히 접을 거 같은데 당장 마카체프같은...
-
어디서 부터 손댈지 감도 안잡힘 우인단 여캐 나왓네
-
부산 경북대는 2
인구수 감소로 인한 입결하락 효과보다 +a로 더 있는거임?
-
개@추워 할때도 댓글에 안보이면 어캅니까
-
고2때 24풀고 25버전은 안 풀고 모의고사만 풀다가 이제 25풀고있는데 아주 좋네요
-
시대 합격했고 시대 기숙 모집요강이랑 대학교 충원 등등으로 등록하고 2/17(개강)...
-
프사 0
초심으로 귀환이야, 옯삣삐
-
강민철 강기본 인강에서 개념어 정리, 세줄 정리 띄워주실 때 다들 필기하시나요??
-
https://orbi.kr/00067028824 미쳤군
-
너무추우니까 1
디버프 걸린거같애 힘드렁
-
13~14일날 시골에 내려가 있을 거 같아서.. 등록금 이체만 가능하면...
-
남들에게 조언을 해줄 때 언제나 신중하게 생각하고 답변해주는 사람은 생각보다 많지...
-
수능의 논리적 구조를 일컫는 말이다.
개추 눌렀다....
캬
일단 읽어보고 걔추
![](https://s3.orbi.kr/data/emoticons/oribi_animated/006.gif)
볼 때마다 존경스러울 뿐입니다앞으로도 좋은 글 써볼게요 ㅎㅎ
ㄷㄷㄷ
갑종님이랑 생각이 거의 일치하는...
왜냐면 둘이 친구거등
저도 작년 9평 13번을 이렇게 푸는게 맞다고 생각했어서 근의 분리니 뭐니 말 많을때 잘 이해가 안되긴 했었어요
김현우 선생님이랑 완전히 똑같이 푸셨네요.. 칼럼 잘보고 갑니다!
15번 이거풀때 산술기하로 풀었는데 최솟값이라 풀린거겠죠
6평 말하시는거죠?
산술기하도 괜찮네요. 왜냐면 여러가지 조건이 딱 맞아 떨어져서 여기에 산술기하를 쓸 수 있습니다.
일단 x가 2보다 큰 부분을 봐야 하는데, 그게 x-2>0이어야 하는 산술기하 조건이랑 맞아떨어졌구요,
부등식에서 오른쪽 부분이 상수이기 때문에 최솟값만 보면 됩니다.
물론 좀 더 근본적으로는, 산술기하는 완전제곱식에서 나온 공식이기에 똑같다고 볼 수도 있지만
아무튼 아주 맘에드는 관점이네요!!
넹 6모 15번 x-2>0보다 큰상태여서 이거로 산술기하썼는데
해설강의같은거 보니까 다들 다르게풀어가지고 결국 똑같은이야기였네요
대범준 그래프 분리
첫 문제에서 a=±루트6 구하셨을 때 D/4 공식을 쓰셔는데, 미지수를 (x-2)로 해서 b'²-ac 로 바로 구하신건가요?
![](https://s3.orbi.kr/data/emoticons/dangi/035.png)
네 맞습니다아! 근데 그렇게 해도 되는건가요? 제가 고1수학을 날림으로 배워서..
넵, 이해를 도울 수 있는 두 가지 관점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1. 평행이동.
x축과 만나지 않는 이차함수를 좌우로 평행이동해도 여전히 x축과 만나지 않는다. 따라서 해당 이차함수를 2만큼 왼쪽으로 이동시킨다면 3x제곱 +2ax+2이고, 여기에 판별식을 쓰면 된다.
2. 치환
x-2를 t라는 새로운 문자로 잡는다.
사실 1과 본질적으로 같다.
감사합니다!! 저는 x가 변수인 상황에서 판별식을 쓰는데, 2만큼 평행이동을 해도 똑같이 성립이 되는지 궁금했었는데 이해가 되네요! 정말 감사합니다 ㅎㅎ 덕분에 수준높은 풀이법 하나 배워갑니다 . 감사합니다!!
![](https://s3.orbi.kr/data/emoticons/oribi_animated/034.gif)
넵 ㅎㅎ 앞으로도 좋은 글 많이 올려볼게요저도 굳이 근의 분리까지 안끌고가고 싶어서
저는 그냥 잘 모르겠으면 화끈하게 근의공식 때리고, 두 근이 모두 k보다 작아야한다면
D >=0인 경우, 그냥 더 큰 근이 k보다 작다! 라고 하게끔 가르쳤는데
기하학적인 풀이도 너무 좋은 듯 합니다 ㅎ
잘 보고 갑니다!
관찰중인 문자의 차수가 여러개가 아닌 이상 (예를 들면 식에 a도 있고 a제곱도 있는 경우), 위 기하적인 풀이가 근의 분리를 완전히 대체합니다
.
의견 공유 감사해요 ㅎㅎ
고정된 요소가 필요하다는 말씀 맞으실까요? 좋은 댓글 감사합니다 ㅎㅎ
오 이거 좋네요. 시간 단축 꿀일 듯.
+ 이번 6평 14번 부등식도, 부등식 여러개로 케이스 분류해서 끼워 맞추지 않고, 일차함수랑 이차함수 만나는 걸로 구할 수 있음!
정말감사합니다
오늘도 배워갑니다 감사합니다
많은 상황에서 상위 호환은 맞지만 계수의 꼴에 따라선 대체가 안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고정점 지나는 직선으로 해석이 안 되는 경우도 있음)
![](https://s3.orbi.kr/data/emoticons/dangi/035.png)
맞습니다저도 위에 댓글에 달아놨는데, 그 경우에는 기하적 의미를 깔끔하게 부여할 수 없습니다
본문에도 추가해야겠네요
질질 쌌다.
미분을 활용하여 직선의 회전 이동을 관찰한다, 감사히 잘 읽었습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
선생님 진짜 미틴넘이시네요 미친초고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