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drea5929 [536561] · MS 2014 · 쪽지

2015-10-23 09:21:17
조회수 494

생윤 고수님들ㅜㅜㅜ도와줘요

게시글 주소: https://cheetar.orbi.kr/0006685279

어제 대성 모의 고사 생윤 17번 요나스 문젠데요

요나스가 자연의 고유한 존엄성과 불가침성을 인식해야하는데 동의한다고 나와 있는데

이 선지가 잘 이해가 안가는게 요나스가 자연에 대한 개발을 전면적으로 부정하나요..?
자연개발을 적절히 선별하고 조절해서 지속가능한 개발을 하자 이런건 찬성하는거로 알고 있었는데

자연의 고유한 존엄성은 인정한다고 해도 불가침성을 인정하게 되면 자연 개발을 아예 전면적으로 부정하는거 아닌가요

아 그리고 불가침성을 인정하게 된다면 생태중심주의랑 요나스의 차이가 뭐가 되는거에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Prayer16 · 586140 · 15/10/23 09:47 · MS 2015

    이거 레알 생윤굇수님들의 도움이 필요해요. .

  • 닐리리리 · 482560 · 15/10/23 09:57 · MS 2017

    이거요 요나스=온건한 인간중심+생태주의라서 완벽히 이분법적으로 구분하기 힘들다고 배웠어요 ebs자료 플러스에도 '자연 존재 그 자체에 대한 책임 요청'이라고도 나와 있습니다.

  • 16삼반수시대 · 559313 · 15/10/23 11:51 · MS 2015

    요나스는 책임윤리를 강조하면서 미래세대+자연에 대한 책임을 강조하였으며 윤리적 공백이라고 과학기술 발전에 성찰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하였기에 4번을 채택 하였습니다.

  • 이안희자 · 526327 · 15/10/23 12:02 · MS 2014

    요나스는 온건한 생태중심주의에요.

    온건한 생태중심주의에서는 기본적으로 자연의 내재적 가치를 인정하고 이를 보호해야한다

    고 주장해요.

    그러므로 생태계 모든 존재 간의 관계망을 고려하여 자연에 대한 간섭과 침해를 허용하지 않

    아요.

    다만, 이들이 "온건한 생태중심주의"라고 불리는 것은

    이들이 "자연의 질서"에 부합하는 인간의 문화적 활동을 인정하기 때문이에요.

    인간의 욕구를 극단적 생태중심주의처럼 완전히 억제하지 않고 적절히 선별해서 "자연의 질

    서에 부합한다는 전제가 밑바탕이 될 때만"욕구를 허용하는 겁니다.

    온건한 인간중심주의와 온건한 생태중심주의는

    자연을 보호하고 인간 욕구를 적절히 조절하고 지속 가능한 발전을 한다는 명목 아래서만 공

    통점을 지니는 것이지 온건한 생태중심주의는 기본적으로 자연에 대한 불가침성을 인정합니

    다.



    요컨대,

    "온건한 생태중심주의"가 아무리 온건해도 "생태중심주의"의 범주에 포함됩니다.

    온건하다고 해서 인간이 자연을 침해하도록 허용하지 않으며

    인간들의 개발이 "자연의 질서"에 부합할 때만 그 인간의 활동을 허용하는 겁니다

  • 삼서생 · 556965 · 15/10/23 13:26 · MS 2015

    수환샘 들으시죠? 수능에서 만점 받으실거 같네요~

  • 이안희자 · 526327 · 15/10/23 13:49 · MS 2014

    같이 만점받아요 ! ㅎ0ㅎ

  • Andrea5929 · 536561 · 15/10/23 13:35 · MS 2014

    우왕 감사합니다 닥분에 해결된거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