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대국어윤필 [466739] · MS 2013 · 쪽지

2014-02-12 16:14:11
조회수 952

13 9월 국어A과학 `병아리`해설

게시글 주소: https://cheetar.orbi.kr/0004340052

기본 자료 다운받아 보시고.
게시글을 읽으면 더 잘 이해갈 것입니다.
http://orbi.kr/0004337830



2013 9월 모평 국어 A형 과학지문 `병아리`

1. 총평
 
우선 병아리 지문은 <동물의 길찾기 방식>이 주제입니다.

1.
장소기억=>16번문제
2. 재정위=>18번 문제 긴벽이 오른쪽에 있는 지와 같은 공간적 정보
3. 경로적분=>17번문제 이글은 병렬로 구성되어 이세가지가 문제로 구성되었고. 정확히 잘 구성되었습니다.

다만 개인적인 생각입니다만. 

첫번째 문제에서 약간의 미스가 있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답인 4번 선지에서 아마도 원숭이는 재정위 과정에서 장소기억정보도 활용한다고 이야기하는 것이
원래의도가 아닌가 싶기도 하지만. 평가원이 좀처럼 하지 않는 어색한 선지를 만들었네요.

원숭이는 재정위과정에서 기하학적정보와 장소기억정보도 활용한다고 하는 것이 좀 더 자연스러 보이는데.
어쨋든 틀리지는 않았네요.<이정도하구요>

16번 문제 하나정도만 삐꾸가 나오네요. 모평에서는 가끔 이래요!!



첫문제는. 이유제한 하단에서
두번째는. 이유제한 전반에서
세번째는. 이유에서 문제를 구성했습니다.

=>이내용은 이전 칼럼과 이후 칼럼을 활용하세요 

18번
=병아리문제만 보면. 기하학적 특징=>공간적 정보=> 긴벽이 오른쪽에 있는 지 등 으로 구체화되는 어휘의 연결성을 느끼는 유기적 독해에 그 핵심이 있습니다.

그러니까 답을 찾을 때 기하학적 특징이라고 생각하면. 답을 못찾죠.
 
공간적 정보라고 해도 감이 안오죠
하지만 긴벽이 자신의  오른쪽인가 왼쪽인가를 따지는 것이
=>공간적정보라고
=>그것이 기하학적 특징이라고 생각하는 과정이 필요한 것입니다.

추상어나 개념어 상위어를 이해할 때
. 우리가 사례를 드는 것처럼.
어떤 어휘나 조건에 대해 내가 이해할수 있도록 규정하는 것이 언어능력의 힘입니다.
상자를 돌리면 아이큐이지만.. 어휘상으로 긴벽이 어디에 있는지를 적용하는 것...
당연히 국어에서 해줘야합니다.
어휘상의 왼쪽과 오른쪽에 대해 병아리가 방향을 회전했을 때
왼쪽과 오른쪽이
달라진다는 것 또한 마찬가지입니다.

수학의 그래프를 배우는 것은 수학의 일이지만.
민감한 것을 그래프에 어떻게 표현해야하는 지를 직관적으로 이해하는 것은 다른 내용이니까요..


.
다른 질문 필요하면 꾸준히 하세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