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ckero [417746] · MS 2012 · 쪽지

2013-05-24 20:15:42
조회수 879

이온화 에너지 질문드립니다!

게시글 주소: https://cheetar.orbi.kr/0003687319

이온화 에너지의 경향성을 보면 대부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지만 2족에서 13족으로 갈 때와, 15족에서 16족으로 갈 때 이온화 에너지가 감소하는 경향을 알 수 있습니다. 보통 책에서 설명하기를 전자가 p오비탈에 새로 들어가기 때문에 전자를 떼어내기 쉽다, 전자쌍을 이루기 때문에 전자 반발력이 증가하여 떼어내기 쉽다고 설명해서 의심없이 받아들이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온화 에너지 경향성은 한 원자내에서 전자의 수가 달라질 때의 경향성을 말하는 것이 아닌 각각 다른 원자내에서 경향성을 비교하는 것인데, 15족-16족을 예로 들었을 때, 16족 원소는 p오비탈에 전자쌍을 이루는 것은 맞으나, 양성자의 수도 15족 원소에 비해서 하나가 더 많습니다. 이 경우에서, 늘어난 핵전하량에 비해서 전자의 반발력이 그렇게 커서 이온화 에너지가 낮아지는 건가요?


그렇게 이해하려고 했지만, 유효 핵전하를 설명할때, 'Li-Be-B의 가리움 효과가 증가하지만 핵전하량의 증가효과가 더 커서 무시되는 현상'때문에  받아들이기가 힘드네요. 화학 고수님들 도와주세요




라고 네이버 지식인 형들에게 물어봤는데 답변이 안나오네요 ㅎㅎ 오르비언님들 도와주세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GeonuPark · 367317 · 13/05/25 18:04 · MS 2011

    화1 선택자입니다. 실제 측정한 값으로 우열을 가리는 것이지 법칙에 의해 우열이 가려지는 게 아니라고 알고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