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roz Aramis [194126] · MS 2007 · 쪽지

2013-01-08 22:47:48
조회수 6,537

논술 용어 정리

게시글 주소: https://cheetar.orbi.kr/0003492898



1. 동의어 치환 : 같은 말을 다르게 써 놓은 것을 파악하는 것. 이를테면 간섭 문제에서 한 쪽은 간섭, 다른 지문에서는 '하고 싶은 대로 내버려 두지 않는 것'
이라 쓴다.

2. 예화 일반화 : 제시문이 예화의 형태로 나와 있을 때, 그 예화를 단락마다 끊어보면 항상 같은 이야기의 반복일 뿐이다. 그 메시지를 추리면 단 한 문장밖에 나오지 않으며 그것이 그 제시문의 논지이다.

3. 대응 : X 제시문의 x라는 요소가 Y 제시문의 y라는 요소에 일치하는지, 불일치하는지를 따지는 것.

X를 바탕으로 활용하여 참고하여 근거로 하여 입각하여 토대로 하여 / Y를 논 논평 해설 해석 분석 평가 하시오 의 발문이 이에 해당한다.

4. 사과/배 이론 : 연세대 3자 비교 문제는 항상 사과 두개 배 하나이며 두 사과는 색깔이 다르다. 이 때 비교 기준 두 가지를 잡아야 하는데 첫째로 배를 골라내어 과일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고 언급해 주어야 하며, 그 후 사과를 골라내며 색깔에 따라 다르다 라고 언급해 주어야 한다.
이 때 배는 문제에서 알려 준다. 제시문 가나다 가운데 2번 문제에서 혼자 나오면 배, 혼자 안 나오면 배

5. 비례, 예외, 우열관계 : 연세대 제시문 라에서 도표가 나왔을 때 찾아야 할 세 가지.
비례 한 가지에 예외 여러가지가 나오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는 바로 대응으로 이어져 타당한지, 타당하지 않은지를 따지는 평가 발문이 된다.
비례 두 가지에 우열관계 한 가지가 나오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는 바로 우월논증으로 이어져 어떤 제시문 혹은 어떤 조건이 더 맞는지를 따지는 견해 발문이 된다.

6. 복절대구조 : 빨간 사과, 파란 사과, 그리고 빨간 배가 있을때 사과 배 이론에 따라 삼자비교 정리 후 한편 빨간 사과와 빨간 배도 빨갛다는 공통점은 있다는 식으로, 마지막 한 문단에 언급해 주는 것을 말한다.

7. 복예화일반화 : 예화 두 가지가 섞여서 나와서 A예화와 B예화가 ABABABAB 순서로 반복되는 것을 말한다. 예화일반화가 두 번 있다 하여 복예화일반화.

8. SVO 기법 : 연세대의 모든 제시문이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논리구조. O 자리에는 무조건 문제 전체의 주제어를 놓는다. 비교기준을 찾거나 대응을 풀어나갈때 가장 강력한 무기. 특히 비교기준을 찾을 때, 동사 비교 뿐만 아니라 목적어, 부사, 형용사 까지 덧붙여 비교해 주면 어떤 난해한 비교 혹은 대응 문제도 한번에 풀어버리는 괴력을 가진 연대 논술의 master key.

9. 표와 그래프의 전환 : 추가적인 정보를 얻거나 가산점을 딸 때, 혹은 연대가 문제를 너무 꼬아 냈을 때 그래프를 표로 바꾸어 보면 연대가 숨겨 놓은 단서를 더 찾을 수 있다. 주로 예외 찾기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10. 자료의 계륵 : 자료에 언뜻 보면 쓸모 없어 보이는 부분이 있다. 비례,예외,우열관계 이외의 모든 것은 계륵인데, 계륵은 주로 '이유없이 그어져 있는 선이나 줄' 을 말한다. 이 계륵을 잘 활용하면 상당한 단서나 가산점을 얻을 수 있다.

11. 실험문의 동의어 치환 : 제시문 라는 실험과 함께 실험문도 같이 등장한다. 혹은 그림과 함께 글도 같이 등장하는데 이를테면 2013학년도의 물방울이 그것이다. 이를 제시문에 나와 있는 말로 동의어치환하여야만 문제가 풀리는 경우가 있다.


12. 욕과 대우 : 제시문의 논지를 비교하라 라는 말이 발문에 있을 때, 아무리 찾아도 논지가 안 나오면 연대는 제시문의 논지를 대우의 형태로 숨겨 놓은 것이다. 명제가 맞으면 항상 대우가 맞으므로, 제시문에서 특정 인간 혹은 집단을 지칭하여 욕 하는 문장을 찾은 뒤 그것을 대우로 바꾸면 제시문의 논지가 튀어나온다.
13인문 제시문 가(우둔한 것들), 12사회 제시문 가(천편일률적이고 저급), 11사회 제시문 가(고집쟁이), 11모의 제시문 라 (반동보다 더 악랄한적) 고려대 09수시 제시문 나(노예) 등에 활용되었던 개념으로 알아두면 상당히 유용하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