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 2020학년도 고3 전국연합학력평가 대비 녹색지대 모의고사 1회 문제지/해설지
<2022 수능부터는 시험 형식이 변경되어 파일을 내립니다>
<2021 수능 대비 수1/수2/확통/미적분 녹색지대 N제>
모의고사에 참여해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사실 이 모의고사는 1월 초에 고2 과정을 막 마친 학생들을 생각하며 만든 모의고사인데, 지금 올리게 되었습니다.
처음으로 30문제를 혼자 생각해서 완결된 형식의 모의고사를 제작하였는데 쉽지 않았습니다.
문제지와 해설지 PDF 파일을 글에 첨부합니다. 필요하신 분들은 참고하시면 됩니다.
문제에 대한 의견이 있으신 분들은 언제든지 댓글 또는 쪽지, 메일로 저에게 연락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후에 또 모의고사를 만들게 되면, 주신 의견을 성심껏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문제지와 해설지에 오류가 발견되어 수정하였습니다. 죄송합니다. (2월 4일 10:00pm 기준)
(수정 내역)
20번 문제 및 답안 수정 (p의 값 수정)
29번 해설지 5페이지 - PH의 최솟값을 2√5/5 에서 4√5/5로 수정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약간 흔들리는데 0
ㅇㅇ
-
끄어억ㅅ발 0
자다깼다....
-
왜문자안와 0
??
-
전쟁나면 ㄹㅇ 혼비백산 일듯
-
으으으으
-
근데 충주에 별?거없어서 괜찮을지도
-
시발 존나놀랐네 0
오늘 잠 다잤다 시발;;
-
일본도 아니고 뭐꼬
-
아 잠 못자겠다 0
자려고 눈감았는데 재난문자 소리에 잠 다깼다
-
이 시간에 자면 깨야지 암 그렇고말고
-
뭐지다노
-
일단 새벽 뻘글 ㅈㅅ 제 일은 아니긴 한데 겁나 회의감 드네요 하 형이 삼수할동안...
-
나만 들렸나
-
ㅇㅇ?
-
깜짝놀라서 아 내 심장
-
근데 2시 반에 이렇게 시끄럽게 울릴정도인가..
-
문자도안왔노
-
아
-
서울은 지진없다 이거야 ㅋㅋㅋㅋㅋㅋㅋㅋㅋ
-
펑
-
에고
-
자다가 잠 다깸 2
와 놀래라 충주 무사하길 바람
-
아오깜짝아 0
눈감고 5초만에 뭔데
-
전쟁난줄 0
어우
-
뒤에서도 나고 디코에서도 나서 전쟁날줄알았네
-
진짜 놀랐네요 0
지진경보라니
-
심장 쿵쾅거림
-
삐이이 0
-
아씨개놀랏네 0
-
ㄹㅇ
-
아
-
깜짝아 0
전쟁난줄
-
으악 지진 났당 4
ㅎㄷㄷ
-
온집안에울리네
-
깜짝아 10
-
충주지진 ㄷㄷ 0
ㄷㄷ
-
아이돌이였습니다 존잘 인스타 셀카 쳐서 제일 먼저 나온 사진
-
지진뭐노 1
놀랐네
-
지진뭐야 2
뭐야
-
어준규쌤 생윤 개념강의는 어떤가여
-
재난문자 뭐임? 5
난 아이폰이라서 안 옴
-
형들아 0
수학교육과도 과탐가산 잇나요
-
맞아?
-
더 레지던트 미국 의학드라만데 재밌아용
-
시골사는사람 10
지하철이들어오긴하는대 일단저도시골삼요 재수때 매일 편도두시간으로 독재다님
-
인터넷 많이 하는 사람 같아 보임?
-
파이프라인펀치를 먹는건 범죄에요
-
화2를 안배워서 르샤틀리에 살짝 깔짝이는 정도로 쓰려했는데 바이트 수 부족해서...
-
8
.
시험 결과 데이터가 제대로 나오지 않아 정확하게 알 수는 없지만, 고3 대상이었다면 92 정도가 되지 않았을까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
감사합니다 나형인가요 가형인가요??
범위가 수I, 수II 전범위입니다. 나형으로 보는 게 맞겠습니다.
20번 답없는거죠?
수정해서 올린 걸 봐주시면 됩니다.
출제자님, 나형 응시자입니다. 제가 29번을 제외하고 다 맞았는데 29번 같은 문제는 현장에서 어떤식으로 접근하고, 어떤 마인드를 지녀야할까요? 솔직히 29번 끄적이다가 해설지의 원을 그리는 풀이는 생각도 못했고 문제를 어떻게 풀어야할지조차 느낌이 오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그냥 바로 30번을 풀고 가채점표에 옮기니 2분밖에 남지 않았고요..
이런 허접한 모의고사 문제에 크게 의미 두실 필요는 없습니다. 29번을 제외한 문제를 모두 시간 내에 맞추었다면, 입시 수학에서 필요한 실력이 꽤 갖춰진 분으로 사료됩니다.
평소엔 자기가 하던 대로 공부하고, 문제를 풀고 생각하는 경험을 많이 쌓으시면 되고, 실전에서는 모르는 문제가 나오면 넘기고 다른 문제들을 풀며 여러 번 보시는 게 좋습니다.
처음엔 해법이 보이지 않는 문제도, 여러 영역과 난이도의 문제들을 풀다 보면 실력이 있는 사람은 해법이 떠오르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