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하세요 [207996] · MS 2007 · 쪽지

2009-01-29 19:18:05
조회수 1,472

삼수에 대해 여쭤봐도 될까요?

게시글 주소: https://cheetar.orbi.kr/0001838590

안녕하세요. 라끄리 선배님.

저는 빠른 90이며 작년에 재수를 했습니다.
현역때부터 공부를 잘 못한지라,
재수때는 열심히 공부를 해왔는데(라끄리님이 쓰신 수기책을 보며 이를 악물었답니다)
9월달 평가원에서 성적이 꽤 올라 자만했던 것인지 점점 나태해졌고,(9월 전국 3.6%정도..보통 7~9%정도입니다)
결국 수능을 잘 못봤습니다.(전국 15%정도 입니다..)

너무 상심이 커서 부모님께 삼수를 하겠다고 말씀드렸는데
부모님이나 친척 분들은 삼수를 한다고 한들 꼭 잘친단 보장도 없고,
재수때 열심히 해왔는데 성적이 많이 안 오르는 것을
억지로 계속 더 어떻게 해보려고 하면 시간만 낭비하는 거라고 하시네요.

또, 제가 어차피 행정고시를 칠 거면 대학 따는 것 보다, 한해라도 먼저 붙는 게 더 이득이라고 하시네요.
학벌에 대한 건 대학원을 그쪽으로 나오면 된다고, 삼수 생각은 하지말라고 하시네요..
(지금 붙은 대학은 고려대의 세종캠퍼스입니다..)

솔직히 부모님 말씀의 많은 부분에 공감을 했고, 삼수하는 것에 대해 많이 갈등하고 있습니다..




질문을 요약하자면,, 행정고시를 치려고 하는데, 그 공무원 사회 안에서도 학벌의 영향이 많은가 궁금합니다.


학벌이 생각보다 많이 작용을 안한다면,
올해 대학을 가서 최대한 빨리 공무원 시험에 합격하는게 더 낫다는
아버지의 의견에 따라 올해 대학을 가려고 합니다.

그러나 제 생각엔 학벌이 꽤 작용할 것 같아서,
만약 그렇다면 정말 죽을 각오로 고려대에 진학하는게 목표입니다.


요즘...공부를 잘 못하는 제 자신을 보니 정말 비참하고 우울하네요....
정말...이 악물고 인생을 바꾸고 싶습니다. 도와주세요...

라끄리님의 소중한 의견을 부탁드립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lacri · 2 · 09/01/30 15:06 · MS 2002

    그 부분에 대한 것은 제가 함부로 말씀드리기 좀 어렵습니다만
    올해 재수 결과를 고려해 볼 때 열심히 한다고 성적이 1% 안쪽으로 들어갈 가능성이 충분한 편이 아니기 때문에
    일단 진학해서 삼수에 들일 노력을 고시 준비에 붓는 것도 나쁘지 않아 보입니다.
    지금 성적에서 수능 1% 안에 들기 위해 필요한 노력만큼 고시에 부으면 그쪽에도 좋은 결과가 있을 것이고,
    고시 쪽에서 결국 실패할 집중력과 정신력이라면 수능을 다시 보았더라도 수능 성적이 잘 나오지 않았을 것입니다.
    학벌 문제는 정 마음에 걸리면 부모님 말씀대로 대학원으로 보충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